메뉴

10월 국제 식품 가격↑ 유제품↓

농식품부 "최근 치즈 가격 뉴질랜드의 수출 가용량 증가로 하락해"

지난달 국제 식품 가격은 대체로 올랐으며, 반대로 유제품 가격은 소폭 하락했다.

11일 농림축산식품부의 조사에 따르면,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72.2포인트로 전월(169.7포인트)대비 1.7% 상승했다.

 

품목별로 설탕은 9월(168.6포인트)보다 5.8% 오른 178.3포인트였으며, 곡물류는 4.2% 올라 164.0포인트를 기록했다.

 

농식품부는 "설탕 가격은 올해와 내년도 공급량이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돼 크게 반등했다"며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인 인도에서, 사탕수수 재배지역이 지난해보다 10% 감소함에 따라 생산량이 급감할 것으로 예측됐다"고 밝혔다.

 

이어 "곡물 가운데 밀은 아르헨티나·호주의 생산량 감소에 따라 가격이 급등했다"며 "옥수수 수출 가격도 미국 생산량 감소와 아르헨티나 작황 우려가 맞물려 9월보다 크게 올랐다"고 덧붙였다.

 

육류는 9월(181.0포인트)대비 0.9% 상승한 182.7포인트로 9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이는 양고기와 소고기는 중국의 강한 수입 수요로 오름세를 유지했고, 돼지고기는 유럽과 브라질의 물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지역 수입 수요로 인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지류도 9월 135.7포인트보다 0.5% 상승한 136.4포인트 상승하며, 작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갱신했다.

 

반면 유제품 가격지수는 192포인트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농식품부는 "최근 치즈 가격은 뉴질랜드의 수출 가용량 증가로 하락했다"며 "다만 탈지분유·전지분유는 아시아의 단기 수입 수요 증가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