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대 성수기 3분기에도 국내 저비용항공사 ‘울상’

일본 불매운동•홍콩사태 영향받아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적자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일본 불매운동과 홍콩 사태 등 대내외 악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14일 에어부산은 올해 3분기 1천598억원 매출에, 영업손실 195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에어부산은 올해 2분기 매출 1천562억원에 영업손실 218억원, 당기 순손실 25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09년 2분기 이후 9년 만에 마주한 적자다.

 

제주항공도 이날 3분기 매출 3천688억원 영업손실 174억원, 당기 순손실 301억원임을 밝혔다. 제주항공의 올해 2분기에도 매출은 3천130억원, 274억원의 영업손실과 295억원의 당기순손실을 시현했다. 제주항공은 2014년 3분기 이후 올해 1분기까지 19분기 연속으로 흑자를 달성했으나, 올해 2분기부터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티웨이항공도 3분기에 103억원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 215억원으로 적자를 면치 못했다.

 

앞서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의 올해 2분기 적자의 배경에는, 일본노선 등을 둘러싼 과당경쟁 탓이 컸다. 그러나 연중 최대 성수기인 3분기에도 실적 반전에 실패한 것은, 일본 경제보복에 따른 불매운동과 원화 약세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7월부터 본격화된 일본 불매운동과 계속 격화되는 홍콩사태, 그리고 동남아 노선 과당경쟁 등이 이어지면서 항공 수요가 급감한 탓이다.

 

실제 올해 9월 국내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한 국제선 여객은 179만명으로, 작년 동기간의 188만명대비 9만명가량 감소하며, 최저를 보였다. 10월에도 국제선 여객은 189만명으로 지난해 동기간(209만명)보다 20만명가량 줄었다.

 

전문가들은 4분기에도 실적 개선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하고 있다. 일본 불매운동 여파가 당분간 계속될 것이고, 글로벌 경기 침체, 홍콩 사태 등으로 국제선 항공 수요는 더욱 위축될 것이다.

 

특히 플라이강원 등 후발 저비용항공사 3개사가 운항개시를 앞두고 있어, 근거리 국제선 노선을 둘러싼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