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美농산물 대중국 수출 아직 멀었다

미국 관세 상응초지 없어 中상무부 허가 안 해

 

중국이 5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산 농산물을 수입한다고 밝혔지만 실제로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철폐를 약속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했지만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미중 양측이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이 제기된 유한 무역 협의을 확정하는 가운데 중국은 협의문서에 구체적인 숫자 승낙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가 보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4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매년 최대한 500억달러의 미국 콩과 돼지고기, 다른 농산품 등을 구입한 것은 동의했다'고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베이징이 중국보다 미국 쪽에 더 유리한 협의를 피하기 바라고, 이 협의는 어느 정도 융통성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한 중국 관리는 "상황이 악화되면 중국이 수시 구매를 중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산품 조달은 양국간 아직 유한무역협의에 이르지 못한 문제 중 하나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류허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지난 11일 이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쌍방은 미국이 언제 그리고 얼마만큼 대중국 관세 조칙을 취소할 것이지에 대해도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베이징 측의 핵심적 요구이며, 중국이 다른 문제에 대해 제기한 의견도 관련이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12월 15일에 소비품에 대해 새로운 관세조칙 계획을 취소할 것인지, 아니면 그대로 유지할 것이지 결정한다. 이 때문에 중국 상무부는 아직 농산품 수입에 대해 어떠한 약속도 밝히지 않고 있다.

 

한 소식통은 “미국무역대표 로버트 라이트하이저(Robert Lighthizer) 대표는 중국이 미국의 요구에 더 많은 융통성을 보이지 않으면 중국 수입상품에 대한 추가 징수 등 관세조칙을 취소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