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네이버 日 자회사 라인-야후 재팬 통합된다”

두 회사 경영통합 시 日 인터넷기업 매출 1위 달성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과 일본 포털업체 야후 재팬이 통합된다.

18일 일본 언론 니혼게이자이는  야후 재팬을 운영하는 Z홀딩스(ZHD)와 라인이 이날 각각 이사회를 열고 경영통합에 합의하기로 결정한 후, 도쿄(東京)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경영통합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니혼게이자이는 검색 서비스, 온라인 메신저, 인터넷 통신, 금융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사업을 전개하는 이용자 1억 명 규모의 디지털 플랫폼이 탄생했다고 보도했다.

 

네이버는 라인 주식의 70% 이상을 갖고 있고, 일본 통신사 소프트뱅크는 Z홀딩스의 대주주로 주식의 40%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라인과 야후 재팬의 경영통합은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인터넷 기업이 손을 잡는다는 의미다.

 

Z홀딩스와 라인의 작년 매출은 각각 9천547억엔(약 10조2천548억원)과 2천71억엔(약 2조2천245억원)이다. 이로써 두 회사가 경영통합을 할 경우, 일본 인터넷 기업  라쿠텐(樂天)을 제치고 매출 1위를 달성하게 된다.

Z홀딩스와 라인의 시가총액은 각각 1조8천518억엔(약 19조8천909억원)과 1조1천48억엔(약 11조8천671억원)이다.

 

두 회사는 50%씩 출자로 새로운 회사를 설립해, Z홀딩스와 라인을 거느리는 방식으로 경영통합을 추진하는 것으로 발표됐다.

 

한편 야후 재팬과 라인은 모두, 기본 서비스를 바탕으로 부가 서비스를 더해 성장해왔다.

이용자수가 5천만 명인 야후 재팬은 검색 포털 서비스를 바탕으로 옥션과 스마트폰 결제 서비스 등으로 사업을 키워왔으며, 이용자수가 8천만 명 이상인 라인은 온라인 메신저 서비스를 토대로 결제 서비스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