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너희 모두 중국인” 한마디에 몸에 기름 붓고 불 질러

홍콩 시위 비판에 참변…네티즌 “폭도 빨리 잡아라” 분노

홍콩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너희 모두 중국인”이라는 말 한마디를 한 시민에게 시위대가 기름을 붓고 불을 질러 충격을 주고 있다. 화상을 입은 50대 남성은 생명이 위독한 상태다.

 

지난 11일에 홍콩에 한 거리에서 이모(57)씨가 시위대에 “너희 모두 중국인”이라고 한마디했다. 이에 격분한 시위대는 이씨에게 기름을 붓고 불을 붙였다. 이런 상황은 동영상에 기록됐고, 인터넷에서 업로드되면서 웨이보 핫이슈에 올라갔다.

 

이씨는 50%의 피부에 화상을 입고 입원, 손과 가슴, 복부 등에 피부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씨 부인은 언론과 인터뷰에서 “남편은 의식불명중이며, 생명에 위험이 있다. 동영상 보고 딸과 말도 못할 정도로 마음이 아팠다. 남편과 얘기를 하는데 들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 그냥 힘내라고…, 버티라고…”라고 말했다.

 

네티즌 사이에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보통 사람은 보기만 해도 아픈데, 가족으로서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악을 행하는 폭도들은 빨리 잡혀라”라고 하였고, 또 한 네티즌은 “이 아저씨께 기부금의 통로를 개설해 주셨으면 합니다”라는 댓글을 달았다.

 

<웨이보 댓글>:

 

보통 사람은 보기만 해도 아픈데, 가족으로서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악을 행하는 폭도들은 빨리 잡혀라

 

이 아저씨께 기부금의 통로를 개설해 주셨으면 합니다

 

이 아저씨이 위험에서 벗어나 안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정말 절망적이야. 지금의 홍콩은 정말 황당해! 평민의 부상은 참을 수밖에 없고, 폭도들은 부수고 몇 백 위안 내면 보석할 수 있으니, 하루빨리 범인을 잡아서 법에 따라 엄벌하기를 바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