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기절정 캐릭터 ‘펭수’두고 식품업계 경쟁 펼쳐

20•30세대 전반에서 폭발적인 인기

 

현재 2030 세대 사이에서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는 EBS 펭귄 캐릭터 '펭수'를 두고, 식품업계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19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빙그레’는 최근 EBS측과 펭수를 활용한 마케팅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빙그레 관계자는 "EBS와 미팅을 한 것은 맞지만,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빙그레는 지난달 모델로 활약하는 손흥민 선수의 CF를 패러디하는 '슈퍼콘 댄스 챌린지'를 열었는데, 이 경쟁에서 펭수는 당시 100위권 밖의 초라한 성적을 내고 탈락한 바 있다.  이후 빙그레 측 관계자는 펭수 캐릭터가 인기를 얻자 "우리도 엄청 후회하는 중"이라고 댓글을 남겼다.

 

펭수를 향해 러브콜을 보낸 기업은 빙그레뿐만이 아니다.

펭수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참치’이며, 좋아하는 과자는 ‘빠다코코낫’이다. 이에 참치를 생산하는 동원그룹, 빠다코코넛을 만드는 롯데제과 역시 EBS측과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펭수를 마케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지 타진하고자 미팅을 가진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진척된 사안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펭수가 이 같은 러브콜을 받고 있는 배경에는, 펭수라는 캐릭터를 소비하는 계층인 2030 세대에 있다.  대학생부터 직장인까지 비교적 팬의 스펙트럼이 넓은 데다가, 식품업계가 주 타깃으로 잡는 2030대, 그 가운데에서도 '2030대 여성'과 맞아떨어지는 것이다.

 

인기 아이돌 그룹이 모델이 될 경우, 광고의 영향을 받는 집단이 팬으로 한정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나 펭수의 경우는 2030세대 전반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만큼, 실존하는 스타를 뛰어넘는 파급력이 예상된다.

 

또한 펭수는 아직 어떠한 식품업계와도 계약을 맺지 않은 '광고계 신인'이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펭수 캐릭터가 젊은 직장인에게 크게 인기를 얻는다는 점이, 식품업계의 주 소비층과 겹쳐 매력이 있다"며 "펭수가 다른 곳과 계약을 하기 전에 먼저 잡아야 한다는 움직임도 있다"고 덧붙였다.

 

식품업계에서 인기 캐릭터가 모델로 부상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작년과 올해 '라이언' 등을 필두로 한 카카오프렌즈 캐릭터들은 동서식품, 서울우유, 롯데제과 등의 모델이었다.

동서식품 관계자는 "캐릭터를 모델로 기용하면 브랜드가 젊어지는 효과가 분명히 있다"며 "실제로 매출 상승도 일어나, 내부적으로는 고무적으로 봤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