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소비자원, “태양광 무료설치 광고 꼼꼼히 확인하세요”

계약 관련 피해 접수 빈번해

 

21일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태양광 발전시설과 관련한 피해 주의를 당부했다.

A씨는 '태양광 무료 설치'라는 현수막 광고를 보고, 전화 문의 후 업체에 착수금 10만원을 지불했다. 그러나 A씨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원을 제외한 본인부담금 40%를 대출로 8년간 내야 하고, 정부 지원도 이미 마감됐음을 알게 됐다. 이에 착수금을 돌려줄 것을 요구했으나, 사업자는 환급을 거부했다.

 

소비자원은 2015년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태양광 발전시설 관련 소비자 상담이 2천404건, 이러한 피해구제 신청은 116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피해구제 신청 사례 중에서는, 계약 관련 피해가 77건(66.4%)으로 1위였으며, 이어 품질·사후 서비스(AS) 피해 37건, 안전 관련 피해 2건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계약 관련 피해는, 정부 보조금 지원 조건을 갖춘 업체가 아닌데도 보조금 지원이 가능한 것처럼 속이거나, 초기 설치비용이 무료인 것처럼 광고했지만, 실제로는 이자를 포함한 대출금을 내야 하는 경우 등이었다.

 

한편 가정용 태양광 시설뿐만 아니라, 사업용 태양광 발전시설과 관련해서도 피해사례가 접수되고 있다.

사업자가 한국전력 등에 전기를 팔아 발생하는 수익을 과다하게 늘려 안내하거나, 전기요금은 무료고 연금 형태로 매달 수익금을 받을 수 있다는 식으로 유인하는 것이다.

 

이에 피해구제 신청자 연령은 60세 이상이 57명, 50대가 25명으로 고령자 피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광역시 이상 대도시(29건)보다 지방 시·군 단위(87건) 소비자의 피해가 많이 접수됐다.

 

소비자원은 허위로 소비자를 현혹하는 사업자에 대해, 정부 태양광 보급 사업 참여를 제한하도록 관련 기관에 규정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또한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은 태양광 발전 시설을 계약할 때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센터(www.knrec.or.kr)를 통해 해당 사업자가 정부 태양광 보급 사업 참여 업체인지 확인하고, 계약서를 꼼꼼히 살펴 금융권 대출이 포함돼 있는지를 확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의심되는 사례가 있으면 한국에너지공단의 피해상담센터와 상담 전화(☎ 1670-460)로 상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