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반도체 불황 SSD 수출 급감까지 가져와”

1년 사이 47% 급감…내년에는 회복할 것으로 전망돼

 

올해 반도체 불황이 계속되며, 차세대 저장 장치로 불리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수출도 1년 사이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국내 SSD의 올해 1∼3분기 누적 수출액은 31억3천700만달러(약 3조7천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6.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메모리 반도체(품목번호 HSK854232) 수출이 같은 기간 35.9% 줄어든 것과 비교했을 때 급감한 수치다.

 

SSD는 메모리 반도체를 사용하는 대용량 저장 장치로, 기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대체할 차세대 제품으로 꼽힌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과 비교했을 때 속도가 빠르고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 발열·소음도 적으며,  소형화·경량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업계는 SSD 수출액 급감의 이유를, 올해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서버용 SSD 수요가 크게 줄어들면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글로벌 SSD 시장 규모는 작년 동기 대비 27.9% 줄었고, SSD 평균 가격도 38.4% 하락세를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서버용 SSD는 모바일용보다 용량이 크다 보니 수익성이 높은 편"이라며 "서버용이 비중이 줄고 모바일용이 늘어나면서 수출액도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수출액 감소 폭은 1분기 55.6%, 2분기 53.1%에서 3분기 30.0%로 줄어들고 있다. 이는 단가 하락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면서, 데이터센터 업체 등 수요 기업들의 재고도 줄어들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SSD 시장 1위인 삼성전자 또한 내년에는 관련 실적 회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9월 소프트웨어 혁신기술 3개를 적용한 초고용량 4세대 SSD 신제품 19종을 출시하며, 글로벌 시장 위축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 바 있다.

 

HS마킷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SSD 시장 점유율 1위는 삼성전자(30.6%), 2위는 인텔(17.4%), 3위는 웨스턴디지털(11.2%)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