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文대통령, 반도체 핵심소제 기업 방문해 ‘경쟁력 강화’ 의지 다져

文대통령 “기업 간 협력모델 구축과 제도 개선 강력 추진할 것”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반도체 핵심소재인 실리콘 웨이퍼 생산 업체의 공장 준공식을 방문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문 대통령은 직원들을 만나 "일본의 반도체 부품 소재에 대한 수출규제가 있어, 굉장히 걱정을 많이 했다"면서도 "이번 준공으로 우리가 반도체 종합강국으로 가는 길에, 한 걸음 더 성큼 다가가게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충남 천안에서 열린 MEMC 코리아의 제2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앞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문 대통령의 행보는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핵심소재의 한국 수출을 규제하는 상황에서, 소재·부품·장비의 대외의존도를 낮춰 경제적 자립 여건을 개선하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앞서 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결정 후, 효성 탄소섬유 신규투자 협약식 참석, 로봇부품 기업 방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현장 국무회의 등을 통해 경제 체질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바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전날 언론에 "공장 준공으로 불화수소 공급처가 다변화하고, 실리콘 웨이퍼 자급률도 35%에서 44%로 상승한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준공식에서 "지난 10월 출범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업 간 협력모델 구축과 제도 개선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준공식에 앞서 웨이퍼 절삭 공정 및 불화수소 공정을 점검하고, 업체 임직원들에게 "여러분들을 보니 애사심보다 애국심이 많은 것 같다"고 격려했다.

 

또한 "반도체는 우리 제조업의 핵심인데, 올해 들어 가격이 떨어져 걱정이 많았다"며 "(하지만 기업들이) 우리의 핵심 목표인 핵심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수입선 다변화 등에서 확실한 성과를 보여주셨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문 대통령은 도리스 슈 글로벌웨이퍼스 회장에게 한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한 데 감사함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슈 회장에게 "한국에서 사업을 확장해 큰 성공을 거두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슈 회장은 "대만과 한국은 지리적·경제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에 투자하기로 한 것은 최고의 선택"이라고 답했다.

 

청와대는 이번 행사를 두고 "외국인 투자가 한국경제 발전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의 중요한 축임을 강조하는 한편,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한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