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서울 3호선 남부터미널 역사 안, 스마트폰 플랫폼 생긴다”

2021년 도시농업 창업 꿈꾸는 청년들 입주 계획

서울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 역사 안에 스마트팜 플랫폼이 조성될 예정이다.

 

27일 서울교통공사와 농촌진흥청은  10여년 간 비어 있던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사 내 유휴공간을 '스마트팜 플랫폼'으로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공간은 1987년 진로종합유통이 조성해 운영하다 2008년 기부채납 방식으로 반납된 후 현재까지 비어 있었다.

공사와 진흥청은 도시농업 분야 창업을 꿈꾸는 청년들을 2021년에 입주시킬 계획이다.

 

‘스마트팜’이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미래형 실내농장을 말한다.  서울교통공사는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가공·유통·판매와 함께 창업지원도 이뤄지는 복합공간을 만들어, 도시농업 분야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전후방 산업투자를 유도하려는 방침이다.

 

복합공간은 남부터미널역사 종점부 지하 1·2·3층에 있는 폭 10m, 길이 180m 규모의 복도형 상가에 조성되며, 연면적은 5천629㎡에 달한다.

 

공사와 진흥청은 '유휴시설 활용 도시형 스마트팜 시범구축 지원사업'을 공동 추진하며, 공모를 통해 '남부터미널 URBAN FARM 컨소시엄'을 최종 사업자로 선정했다. 이 컨소시엄은 넥스트온(전문재배사), 리치앤코(자금조달), 바른팜(판매/유통), LG전자(기획 및 인프라 구축)로 구성됐다.

 

앞서 공사는 전국 최초로 7호선 상도역과 5호선 답십리역사 내에도 스마트팜 복합공간 '메트로팜'을 조성한 바 있다. 메트로팜은 스마트팜의 체험과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남부터미널역에 조성될 '스마트팜 플랫폼'은 도시농업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공간으로 운영된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공사는 범정부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육성을 위해 투자 중인 스마트팜에 적극 참여해 긍정적인 미래 농업 이미지를 만들어나가고 부대수익 창출에 힘쓰고 있다"며 "남부터미널역에는 다른 공간과 차별화한 청년 창업팜, 창업키친 등을 운영해 청년창업 생태계를 만들어나가겠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