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영혼 담아 빚은 옷…중국 소수민족 의상, 대구 나들이

국립대구박물관, 내년 3월 22일까지 '광시 복식문화'展

 

 중국 남부 광시좡족(廣西壯族)자치구 소수민족 의상들이 대거 한국 나들이를 했다.

    국립대구박물관은 광시민족박물관이 소장한 생활복, 의례복, 장신구, 직물, 공예품 등 자료 172건을 선보이는 특별전 '아름다운 순간: 중국 광시 복식문화'를 24일 기획전시실에서 개막했다.

    윈난성과 광둥성 사이에 있는 광시좡족자치구는 절경 구이린(桂林)으로 유명하다. 난닝(南寧)에 있는 광시민족박물관은 중국 국가 1급 박물관으로, 다양한 소수민족 복식과 청동북인 동고(銅鼓) 등을 보유한다.

    대구박물관 관계자는 "광시에 있는 12개 소수민족은 손으로 풍부하고 다채로운 옷을 만들며 염색·직조·자수 문화를 발전시켰다"며 "이들은 옷에 영혼이 담겨 있다고 생각해 '영원한 옷'을 제작하려고 정성과 예술혼을 쏟았다"고 말했다.

    이어 "전시에서는 복식을 단순히 나열하지 않고, 탄생·결혼·죽음 등 인생에서 중요한 순간을 옷과 연결해 보여주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광시 소수민족 중 좡족, 먀오족, 야오족, 둥족 의상에 초점을 맞춘 전시는 광시좡족자치구 자연환경과 사람을 소개한 프롤로그를 포함해 5개 공간으로 나뉜다.

    제1부 '짜고, 물들이고, 수놓다: 광시 소수민족의 삶과 옷'은 '요금'(瑤錦)·'묘금'(苗錦)·'동금'(侗錦) 등 광시를 대표하는 직물과 이 직물로 만든 가방·주름치마, 염색 복식 등으로 꾸민다.

    2∼4부 주제는 각각 탄생, 결혼, 죽음이다. 할머니가 손주를 위해 손수 제작한 다양한 무늬의 포대기와 장신구, 혼례복과 예복, 장례용 복식과 도구를 공개한다.

    전시는 내년 3월 22일까지 이어진다. 오는 29일까지는 오후 2∼6시 어린이를 대상으로 의상 입기 체험 행사를 운영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