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알리바바, 아시아서 시총 총액 증가 1위

삼성,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3위에 그쳐

알리바바가 모바일 결제와 물류 네트워크를 강화하면서 탄탄대로를 걷고 있다. 올해 시가총액이 늘면서 아시아에서 1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세계 메모리 반도체 40%를 장악한 삼성전자는 반도체값이 하락하면서 4위에 그쳤다.

일본경제신문은 27일 “알리바바는 모바일 결제와 물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업무 실적을 확대했다”며 “홍콩 2차 상장으로 투자자들의 성장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고, 무역마찰의 배경에서 안정적으로 실적을 확대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사분석 사이트인 제이신-휘성 워크스테이션(捷迅-辉盛工作站)이 집계한 전망치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2021년 회계연도(2022년 3월 현재) 순이익은 230억달러를 넘어 2018년 대비 8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분야로도 돈이 흘러가고 있다고 보도는 전했다.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는 시가총액 증가액이 3위를 차지했다. 반도체 메모리 분야에서 세계 전체의 40%를 장악한 한국 삼성전자는 4위를 차지했다. 세계반도체무역통계협회는 2020년 시장 규모가 전년보다 6%를 확장해 4330억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2019년부터는 회복됐다.

 

삼성의 2019년 회계연도(2019년 12월 현재) 이익은 50% 넘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은 2020년 이후 실적이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 말까지 출시될 '메이투안 디엔핑'(美团点评)은 시가총액이 2.8배로 커졌다. 메이투안은 4억명이 넘는 가입자에게 식당과 호텔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9년 회계연도(2019년 12월 현재)에는 흑자로 돌아설 전망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