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폭스콘, 인도 공장설립 취소설 부인..."인도 현지생산 정상적으로 진행"

애플과의 분쟁 부인

 

 대만 폭스콘( Foxconn)이 인도 공장 건설 취소에 대해 "고객사와 인도 공장 설립 의견 불화라는 언론보도가 잘못된 것"으로 해명했다. 

 

 7일 중국 텅쉰왕에 따르면 폭스콘은 이날 고객사 애플과의 분쟁으로 인도 공장 설립을 취소했다는 인도 언론의 보도에 대해 허위 소식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폭스콘은 고객사와 협조가 잘 되고있어 인도 현지 생산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폭스콘 관계자는 "글로벌 투자계획은 정기적으로 각 상황을 점검하고 고객의 수요에 맞춰 조정해 고객,  회사, 직원,  파트너 등의 권익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공업장관인 수바시 데사이는 폭스콘과 애플사의 내부 분쟁으로 인해 폭스콘이 인도에 50억 달러를 투자해 공장을 짓는 거래는 불가능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인도는 13억 인구를 보유한 신흥 스마트폰 시장이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인도 스마트폰 시장은 지난해 전년대비 7% 증가한 1억5800만대의 출하량을 기록했다. 미국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한 것이다. 1위는 중국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