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647개 학교 개학 연기

졸업·입학식 연기하는 대학도 늘어

 한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개학을 연기하거나 학교가 늘고 있다. 특히 졸업·입학식을 취소하는 학교가 늘면서 특수를 노리던 화훼 농가와 꽃집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민생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한국 초중고등학교와 유치원 647곳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이 지속되는 점을 감안해 개학을 연기하기로 했다. 개학을 미루면서 2월 말로 예정됐던 졸업식과 개학식을 취소하는 대학도 적지 않다.

 

 한민족일보 9일 “2월 7일까지 한국 전국에서 유치원 459곳, 초등학교 106곳, 중학교 33곳, 고등학교 44곳, 특수학교 5곳 등 모두 647곳이 개학을 연기했다”는 한국 교육부의 통계 자료를 인용 보도했다. 일부 학교의 경우 통계에 제때 잡히지 않아 이 수치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현행 규정상 유치원은 연간 180일, 초중등학교는 190일보다 적게 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이에 따라 2월 4일 각 학교와 유치원의 휴교나 개학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일부 학교 관계자는 재량에 따라 수업일수의 10%를 낮추겠다고 밝혔다. 2015년 메르스 발생 이후 10일 만에 2704개 학교가 휴교를 선언했다고 한다.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규모 휴강이 재연될지 주목된다.

 

 대학교들의 경우 입학이 늦어지는 것은 물론 일부 대학들이 졸업식 및 입학식을 취소하는 등 부작용을 겪고 있다. 2월 7일까지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동국대학교 등은 개학을 3월 2일에서 16일로 연기하기로 했다.

 

 교육부 2019년 4월 1일 유학생 수량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서 재학중인 중국인 유학생은 7만1067명이고 전체 유학생의 44.4%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생이 중국인 유학생들에게도 피해 많이 겪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