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컬럼] 세월호, 둥팡즈싱(東方之星, 동방의 별)’호

 

 2014년 4월 16일 오전, 베이징에 위치한 법인 사무실에서 세월 호 참사 소식을 접했다.

 

중국 TV에서 메인 뉴스로 생중계했다. 바다 속에 있는 실종자를 단 한 명이라도 구조하기를 기다렸지만, 희망은 체념으로 체념은 슬픔과 분노로 바뀌어 갔다.

 

 중국 시진핑 주석은 “세월 호 침몰소식을 접하고, 대규모 사상자와 실종자가 많은데 대해 충격을 받았다. 특히 청소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더욱 비통함을 느낀다. 한·중 양국 국민은 깊은 우의를 갖고 있으며, 언제든지 한국 측에 필요한 지원과 도움을 제공하기를 원한다.”며 애도를 표했다.

 

 같은 해 반영된 중국 TV 드라마 대사다. ‘虎妈猫爸‘(호랑이 엄마, 고양이 아빠)라는 가족드라마에서, 딸의 소풍 참석을 두고 고부간 의견 충돌 중에 "한국에서 수학여행 가는 학생들을 태운 배가 뒤집어져 많은 학생들이 죽었어요. 만약 우리 딸이, 어머니 손녀가 탄 버스가 뒤집어지면 어떡해요?" 라고 세월 호 참사가 인용되기도 했다.

 

 세월 호 참사발생 일 년여가 조금 지난 2015년 6월 1일 중국 양쯔(揚子)강 중류인 후베이(湖北)성 젠리(監利)현 인근에서 승객과 승무원 456명을 태운 여객선 ‘둥팡즈싱(東方之星, 동방의 별)’호가 침몰했다.

 

 사고 선박은 장쑤(江苏)성 난징(南京)을 출발해 충칭(重慶)으로 향하고 있었다. 승객들 중에는 난징과 창저우(常州), 상하이(上海) 등에 거주하는 50~80세 연령대의 단체여행객이 많았다.

 

 둥팡즈싱(東方之星)호의 침몰은 수 백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것과 선장과 기관장 등이 먼저 탈출해 육지로 나왔기 때문에, 이 사고 역시 ‘세월호식 대응’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그러나 세월 호와 둥팡즈싱 호 사고를 처리하는 정부의 초기 대응은 너무나 차이가 있었다. 둥팡즈싱 호가 침몰한 시간은 밤 9시29분이었고, 관영 매체는 다음날 새벽 4시24분 첫 보도를 내보냈다.

 

 첫 보도가 전해진 시각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이미 전용기를 타고, 사고 현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리커창 총리가 전용기 안에서 각 부처 장관 및 전문가와 구조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장면은 TV를 통해 전국으로 방송됐다.

 

 리 총리는 사고 현장에 도착한 뒤 둥팡즈싱 호 바로 앞까지 배를 타고 가서 현장을 직접 살핀다.  그는 인근에서 동원할 수 있는 잠수부들을 모두 소집해서, 수중 구조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한다.

 

 잠시 후 낮 12시52분  65세 할머니가 극적으로 구조된다.  이 장면 역시 TV로 생중계가 되며 14억 명 중국인을 극적으로 감동시킨다.  리커창 총리가 현장에서 이를 지켜보고 있었음은 물론이다.

 

 중국 정부는 사고 발생 72시간이 지나자, 곧바로 선체 인양 결정을 했다. 반대하는 목소리는 철저하게 통제됐고 희생자 가족들의 의견도 반영되지 않았다. 그러나 사고를 신속하게 수습함으로써 국론 분열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초기 대응 과정에서 국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지 못했다면 불가능 했을 것이다.

 

 세월 호 사고 당시 우리 국민들은 현장에서 국가 지도자를 찾아볼 수 없었다. 그 이후 세월 호 참사의 진상을 밝혀달라며 가족들이 광화문광장에서 목숨을 건 단식을 이어갈 때, 그 앞에서  치킨과 피자를 먹으며 '폭식투쟁'으로 조롱하던 이들이 있었다.

 

 왜 국가가 교통사고를 책임져야 하냐는 일부 정치인들의 망언도 이어졌다. 세월 호 가족들에게 쏟아 부었던 수많은 비난 중에는 아이들 죽음으로 장사한다는 혐오 또한 있었다.

 

 2017년 3월 23일 오전 3시 45분, 3년 동안 바다 속에 가라앉아있던 세월호가 마침내 물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 침몰한 지 1073일 만이었다.  둥팡즈싱 호 인양 작업업체인 '상하이 샐비지'가 건저 올렸다.

 

세월 호 참사 6주기를 맞았다.

 

세월 호 사고 희생자들의 영령 앞에 삼가 명복을 빕니다.

 

 

 

 

 

 

 

 

 

오승찬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