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전기차대명사 'BYD' , 코로나 계기로 마스크 대기업 변신. 미국시장 진출

미국 주식 귀재 워렌 버핏도 , " 'BYD' 마스크 덕분에 100살까지 살 수 있게 됐다" 찬사

 

웨런 버핏은,  중국 선쩐에 본사를 둔 비야디 (比亚迪, BYD = Build Your Dream의 머릿글자로 회사이름 짓고 , 음가에 맞은 중국어로 회사이름을 쓰고 있다 )가,  지난 2007년 첫 전기차를 생산했을 때 , 가능성을 간파하고 그 다음해인 2008년에, 18억 홍콩달러 ( 약 2천 5백억원)을 투자하고 지분10%인수 한 바 있다.   


비야디의 4대 주주 가운데 한 사람인 버핏은, 지난 2월 부터 마스크와 손 소독제 생산라인을 신설하고 방역물자 생산 사업에 신규진출한  비야디가 보내준 마스크를 쓰고 소감을 SNS에 올린 것이다.

 


1930년 생으로 알려진 버핏은 올해 90살로 추정된다.

 

 

BYD가, 선쩐의 자사 단지에 휴대폰 공장를 개조해 하루 500만장의 마스크를 생산 할 수 있는 신규공장을 완공하고 첫 생산을 시작한 것은,  중국 코로나19 초기인 2월 8일 .

 

초기 하루 10만 - 50만장 생산능력으로 출발해 계속 라인을 증설하면서, 지금은 최대 500만장까지 생산할 수 있다는게 , BYD 측 설명이다.


비야디는 코로나 19초기인 올해 1월 초부터 일치감치, 마스크 생산 대기업 분야 추가진출을 기획한 것으로 보인다.  BYD측은 , 자사의 기존 설계팀과 부품제조팀의 철야작업을 통해, 완전 자동화 공정으로 마스크 제조라인을 단기간에 자력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는 중국당국과 비야디 측이 일치감치, 우한 코로나의 확산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대규모의 마스크 공급시설이 자국에 필요하다는 사실을 공감했던 배경이 작용 한 것으로 알려졌다.

 

2월 초부터 24시간 풀 가동해 생산된 마스크 와 소독제들은, 우한 봉쇄 후베이성 봉쇄등과 맞물려 수요가 급증하던 조기 방역물자의 공급부족사태를 상당부분 방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BYD의 마스크등 방역물자 신규 사업은, 미국 코로나 19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인해 호황을 누릴 전망이다.

 

왜냐하면 미 FDA가 이번 달 초 , 중국산 KN95 마스크도 별다른 FDA 승인없이, 즉시 미국으로의 수출을 승인하는 비상사용권 부여 대상에 비야디등 중국계 생산회사들을 포함 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정황을 종합적으로 살펴 보자면,  주식의 귀재라는 버핏이 갑자가 자신이 4대 주주로 있는 비야디의 마스크를 쓰고 백 세까지의 건강장수에 문제없다고 SNS에 사진을 공유한 배경도, 전기자동차 전문 기업인 비야디의 마스크사업  신규진출과 그리 무관하지는 않아 보인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