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코로나가 샤오미를 죽였다?, 샤오미 1분기 매출 33% 곤두박질

중국핸펀시장 4강 에서 1강 2중시대로 압축. 화웨이 '명품은 위기에도 강하다' 점유율 상승

 

중국 휴대전화 시장점유율 탑 5 순위.

 

1위 : 화웨이

2위 : vivo

3위 : OPPO

4위 : 샤오미

5위 : 애플

 

2,000년대 들어, 이번 코로나사태처럼 경제적 소비활동을 위축시킨 사태는 없었다.

 

2020년 중국업계와 매체들은,  소비자들의 5G 업그레이드 시즌을 맞아, 기존 중국 휴대전화 생산회사의 4강 구도에 어떤 변화가 초래될지 매우 높은 관심을 보였다.

 

IT정보 전문기관인 IDC의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중국의 휴대전화 시장 출하량은 6,600만 대로 지난해 4/4분기 대비 20.3%가 감소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수치하락에 가장 기여한 브랜드는 휴대전화를 주력으로 하는 샤오미였다

 

IDC보고서가 만든 아래 표에서 4위에 랭크된 샤오미는, 1분기 판매액이 지난해 4/4분기보다 무려 33%나 추락했고, 시장점유율도 2.1%나 감소했다.

 

(2020년 1/4분기 중국 5대 스마트폰 출하댓수와 시장지배율 증감 비교표)

 

명품은 위기에 강했다. 

 

위표에서 1위 화웨이는 지난해 4/4 분기 대비 매출감소가 4.4%에 불과했다.

 

반면 시장지배율은 35%에서 42%로 매우 높아졌다.

 

2위 vivo 도 매출액이 비교적 큰 폭으로 줄어 -24.5%를 기록했고, 3위 OPPO 는 -15.8% 로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요한 것은, 샤오미가 상표의 의미대로 '시장의 좁쌀'로 전락할지 모른다고 여기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동안 중국 경제발전의 초기단계에, 중저가 위주의 휴대전화생산으로, 지난 10년간 중국 소비자들의 휴대전화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했던 샤오미는, 눈부신 경제성장의 환경속에서 고급을 지향하는 링링호우(00년대 태어난 청소년등 젊은소비자)의 눈에는 그리 탐탁치 않게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이번 1/4분기의 위기속에서도 시장점유율 42%로 2위 vivo와의 격차를 벌이며 압도적 1위에 오른 화훼이가, 확실한 1강 시대를 구축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아래 vivo 와 OPPO가 2중으로 전개돼, 중국 휴대전화 시장은 1강 2중시대에 접어들 것이 확실시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