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35년 중국의 미래전략 완성, 향후 15년이 중국운명 결정.

"2035년 중국 명실상부한 G-2로 미국과 대등한 위치, 2049년엔 G-1 될 것"

 

싱가포르의 연합조보 《联合早报》 은 싱가폴의 최고의 신문이다. 1923년에 창간된 남양상보《南洋商报》와 1929년에 만들어진 《星洲日报》 등 싱가폴 양대 신문이  1983 년 연합조보라는 이름으로 하나로 합쳐진 것이다.

 

인구 약 6백만명의 도시에서 20 여만부를 발행하는 신문이면 싱가폴의 여론은 다 연합조보가 만드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 연합조보가 지난 5월 , 중국양회가 한창 개막중일 때 의미심장한 논평을 게재했다.

 

' 중국은 세계의 미래모습을 전략적으로 잘 만들어나가야 한다. ' < 全球化的未来取决于中国的战略选择>

 

원제가 많이 의역이 됐을 수 있으나 필자는, 그 전후에 중국의 주요매체가 게재하는 중국의 미래에 관한 여러 글을 종합한 결과, 연합조보의 이 논평의 제목은  이렇게 달아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 논평은 먼저 중국이 15년 이후가 되면, 어떤 전략을 택하든 세계의 제 1국가반열에 오른 다는 것을 전제로 , 중국이 세계 제 1국가가 되는 15년 후의 세계를 어떤식으로 만들어 나갈 것인가를 잘 생각해야 한다는게 주요 내용이다.

 

물론 15년후 미국이 여전히 강대국일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지금의 G-2 같은 미국에 좀 처지는 강대국이 아니라, 미국과 동등한 국력 ( 국력이라면 우선 군사력이 첫째이고 원천기술등 산업의 위상 그리고 중국문화의 세계적 영향력 등등이 모두 포함될 것이다) 을 갖는 그런 제 1국가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평은, 이번 코로나 19사태를 계기로, 겉으로는 전염병의 원인과 정보은닉등을 가지고 티격태격하는 외양을 보이고 있지만, 어차피 멀지않은 시기에 중국과 서양은 결국 디커플링(decoupling)할 수 밖에 없었는데, 코로나 19로 그 디커플링이 본격적으로 벌어지는 계기가 자연스럽게 앞당겨졌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 논평은, 만약 중국이 서양과의 디커플링을 미리 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번 사태를 맞고 있다면, 세계 제1국가로 가기위한 중장기적인 디커플링전략을 잘 세워 잘 실천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주장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이 신문은 이 중장기적이란 말을 애매하게 쓰다가 논평말미에, 독자들이 그 중장기가 언제 끝나는지을 궁금해 할지 모른다며 자문하고, 15년 안에 중국과 서양의 디커플링의 결과가 드러날 것이라고 결론을 맺는다.

 

그렇다면 중국은 15년후 어떤 모습으로 제 1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세계가 원하는 그런 제 1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아니다. 중국은 15년 후의 모습을 스스로 정해야 한다고 이 논평은 주문한다.

 

사실은, 개인도 집단도 나라도 ,  모두 그 주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서양이 중국에 대해 이런 저런 모습이 되어야 한다고 해서 중국이 그것을 따를 것인가?

 

현재 제 1국가라는 미국은, 미국 이외의 다른 서양국가와 동양국가가 원하는 모습에 따라 저렇게 된 것인가?

 

근대식민지 시절의 강국이었던 영국과 프랑스 독일 네델란드는, 아시아와 아프리카 그리고 남미의 식민지 국가들이 제발 나를 식민지 나라로 만들어 달라고 요구해서 그런 해가 지지않는 제국주의국가가 되어 그 많은 나라를 수탈했던가?

 

연합조보는 중국에게,  시장의 운영방식을 어떻게 할 것인가, 외국과의 개방성을 어느정도로 조절할 것인가, 그리고 국제외교에 있어서 어떤 가치를 가질 것인가의 큰 3가지 골격을 정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 신문은 그러면서, 혹자는 내무와 외교가 분리될 수있는 것처럼 생각하는데, 외교는 내부의 연장이고, 외교는 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한 몸이라고 단도리하는 논조를 펼친다.

 

필자에게는,  이 부분이 혹 홍콩문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느껴졌다.

 

그리고 이 논평이 마지막 부분에 언급한 역사의 불가역성과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으로 미루어, 중국은 어차피 세계 대국(제국)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중국이 세계 대국 (제국)으로 나아가는 길에 누가, 무엇이 있는지 독자들도 다 알것이다.

 

 

이 논평이 언급한 15년이라는 숫자는 공교롭게도, 장쩌민 주석에서 시작해, 후진타오 주석을 거쳐, 시진핑주석까지 이어지는  '두 개의 백년' 가운데, 두번째인 '신중국건국 백주년 과업' 수행의 1차 완성년도인 2035년과 맞닿는 부분이 있다.

 

그 2035년도 앞으로 15년 뒤이다. 

 

요즘 중국의 미래관련 여러 논평과 소식에서 15년이라는 숫자가 부쩍 자주 등장하는 것같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