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00억 위안 (한화 40조원) 중국 애완동물시장 규모

중국소득증가로 애완견 애완고양이등 해마다 약 20% 씩 성장

 

중국전역의 도시 애완동물 (개와 고양이) 소비자 시장이 올해 약 2,400억원, 한화 약 50조 원의 어마어마한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중국의 애완동물시장규모는 2,024 억위안 으로, 이는 그 전해인 2017년보다 무려 18.5% 나 늘어난 것인데, 그 성장폭이 더 커지리라는 전망이다.

 

 

 

중국 애완동물관련 최대 사이트인 꺼우민왕 ( 狗民网) 이 발표한 지난해 중국애완동물산업백서《2019年中国宠物行业白皮书》중에서 위 그래프를 보면, 전체 성장률은 18. 5% 이고, 중간그래프의 강아지 시장규모가 아직은 더 크지만,  성장률에 있어서는 오른 쪽의 고양이 시장이 19,6% 로 더 높다.  

 

 


위 그래프를 보면, 중국전역에서 키우고 있는 애완견과 고양이의 수는 2019년에 9 억 5,150만 마리로 2018년보다 760만 마리 증가해, 약 8,4%가 많아 졌다.

 

그리고 강아지의 총숫자가 고양이보다 약 1천 만마리 정도가 더 많은 상황이다.

 

그런데 고양이 수의 증가추세가 강아지보다 더 높아서, 조만간 애완고양이의 수가 애완강아지숫자를 추월할 전망이다.

 

 

그리고 특이한 점은, 위그래프에서 나타났듯이,  1선도시 즉 대도시(초록색)나 각 성의 성도급인 2선도시(노란색) 그리고 지방의 소도시 ( 주황색) 간에 애완동물을 키우는 비율이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소득이 높은 대도시인들은 애완동물을 돌 볼 충분한 시간이 없고, 지방 소도시는 소득은 적을 수도 있지만 남는 시간에 애와동물과 보내는 중국인들이 많다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