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비즈니스 환경 1위 도시...쑤저우

 

중국 경제는 이제 중국만 보지 않는다. 세계 시장을 보고 있다. 중국 비즈니스는 그 태생부터 글로벌화 하고 있다.

중국에서 성공이 이제 세계적인 성공을 담보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그럼 이런 중국에서 어느 도시가 가장 우수한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을까?

베이징, 상하이?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이사회망과 중국데이터연구센터는 공동으로 「2025년 중국 최고의 지급 도시 비즈니스 환경 TOP 50 순위」를 발표했다.자료에 따르면 모두의 예상과 달리 쑤저우가 차지했다. 쑤저우는 요즘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 새롭게 성장하는 도시다.

이미 소비재 제로 유명한 우시와 섬유 산업 등으로 유명한 포산 등이 쑤저우의 뒤를 이었다.

중국 도시들의 비즈니스 환경은 전반적인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경제 세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비즈니스 환경의 우열은 도시 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며 “지급 도시는 중국에서 가장 주요한 인구와 산업을 포괄하고 있어 그 지위가 특히 중요하다”고 단언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중국 지급 도시의 비즈니스 환경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와 심층 조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번 순위는 행정 서비스, 시장 환경, 법치 환경, 혁신 역량, 인프라 등 핵심 항목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객관적이고 가장 참고 가치 있는 지급 도시의 영업 환경 모습을 제시하고자 했다.

 

중국 비즈니스 환경 관련 지급도시 순위 Top 10

1위 쑤저우

2위 우시

3위 포산

4위 둥관

5위 창저우

6위 주하이

7위 난동

8위 샤오싱

9위 지아싱

10위 타이저우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