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홍콩보안법이유로 美 비자 제한하자, 내정간섭이냐며 강력 항의

 

미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공무원들의 미국입국비자를 제한하고 박탈하겠다고 발표한데 대해 중국이 크게 반발하는 양상이다.

 

미국이 중국공무원의 비자제한조치는,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이 민주주의와 홍콩인권에 대한 중대한 침해로 봤기 때문이다.

 

중국매체들은 미국의 규제와 제한에 맞선, 중국정부의 보복조치가 조만간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에 대한 항의는 먼저, 미국에 진출한 중국대사관이 가장 먼저 제기했다.

 

미 워싱턴의 주미 중국대사관은, ' 홍콩에 대한 중국정부의 모든 조치는 중국의 내정으로서,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어떠한 외국의 중국내정에 대한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미국의회의 이번 법제정을 인정할 수없다' 는 강력한 성명을 발표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측은 또,  중국이 자국의 일부인 홍콩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홍콩보안법을 제정한 것은, 세계 어느나라에게나 부여된 고유한 주권의 행사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리고 이와같은 주권의 정당한 행사는, 오래전부터 통용되온 국제사회의 관례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 

 

주미 중국대사관은 마지막으로, 미국정부가 잘못된 결정을 빨리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후 중국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내정간섭행위를 금지할 것을 재차 촉구했다. 

 

신강균 기자, 연합뉴스(제휴사)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