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이란법원의 미국 트럼프체포명령 내렸다는 소식에 중국네티즌 조속한 체포촉구.

 

중국CCCV등 매체들은 지난 29일 이란 법원이, 지난 1월 이란의 2인자인 술레이마니 군사령관을 드론으로 살해하도록 명령한 미국의 트럼프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란의 실력자 술레이마니 는 지난 1월 3일 이라크 바그다드를 방문해 이라크 민병대의 지휘관들과 차량을 통해 공항을 빠져나가는 도중, 미군의 드론이 발사한 신형무기에 의해 현장에서 사망했다.

 

이에 대해 미 국방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명령에 의해 군사작전을 수행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힌바 있다.

 

중국매체는 이란현지보도를 인용해, 이란 법원이 트럼프를 비롯해 모두 36명의 미국인등을 슐레이마니 살해혐의와 테러혐의로 체포영장을 발부했으며, 이 영장은 국제형사기구, 즉 인터폴에게도 전달되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이란 법원은, 트럼프의 임기가 끝난 이후에도 관련범죄에 대한 기소를 지속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국제형사기구 대변인은, 정치나 군사 종교 인종문제등에는 관여하지 않는다는 자체규약조항으로 인해, 이란법원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네티즌들이, 일제히 이란법원의 영장과 체포요구를 지지하는 SNS를 전파하며, 즉각 체포를 지지하고 나섰다.

 

 

이란은 정말 과감하게 말하고 있구나, " 미국의 나쁜 행동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고..."

 

바로 (미국이) 가장 큰 테러조직이네... 공격하고 싶으면 맘대로 공격하는 구만...

 

반인류적인 행위를 하는 미국악마들은 응당 징벌당해야 해... 

이란 홧팅 !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