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홍콩 빈과일보는 반중세력의 두목' 사주와 아들 일제이 구속수사

 

중국이, 홍콩보안법문제를 빌미로 시작된 미국과 영국등 서방의 압력과 홍콩에 대한 간섭에 대해, 이번기회에 홍콩내부의 반중세력을 완전하게 뿌리 뽑기로 작정한 듯 보인다.

 

중국의 대표적인 환구시보는, 오늘 11일자 일 면 톱기사로, 전날 홍콩보안법위반으로 체포된 홍콩의 핑궈일보(苹果日报)의 사주가 홍콩경찰에 연행되는 사진과 함께 장문의 죄목을 공개했다.

 

이 신문은 그 사주를 가르켜,  ' 홍콩을 어지럽히는 두목 ( 乱港头目) ' 이라는 강력한 제목을 붙혔다.

 

지난달 29일과 어제인 10일에는, 저우팅등 홍콩의 20대 반중시위대의 핵심세력 약 10명이 홍콩보안법 위반으로 줄줄이 체포된 바 있다.

 

환구시보등 중국매체들은, 이 날 체포된 핑궈일보의 사주 지미 라이 ( 黎智英 )는, 앞서 체포된 홍콩의 반중시위대의 20대 핵심세력들을 배후에서 조종하고 선동하는 등 '홍콩 보안법' 위반혐의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7월 1일 발효된 홍콩보안법은,  홍콩인이 중국을 분열시키고 홍콩정부를 전복하기위해 불법시위와 테러를 자행하는 행위를 엄벌하며, 반중세력을 규합하기 위해 외국과 통모하는 행위등을 엄격기 금지하고 있다.

 

홍콩보안법위반사건을 전담하는 홍콩경찰의 국가보안처는, 핑궈일보의 사주가 그동안 수 년동안 미국등 서방국가와의 통모를 통해 반중시위대를 사주하고 선동하는 행위를 했다고 보고 있다.

 

이날 홍콩 국가보안처는, 핑궈일보의 최고경영자과 재무책임자도 동시에 체포했는데, 최고경영자는 외국과 통모해 홍콩의 안보를 위협한 혐의를, 채무책임자는 사기혐의로 체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와함께, 핑궈일보의 사주인 지미라이의 두명의 아들도 앞서 체포된 이들과 같은 죄목으로 긴급체포되었다.

 

 

그리고 핑궈일보 사옥은 홍콩경찰 약 200여명에 의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받았다.

 

중국이 마치 핑궈일보를 없애버리겠다고 작심한 것처럼 보이는 대대적인 체포를 결행한 이유는, 이 신문이 여론을 조작해 홍콩의 분열을 조장하는 핵심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민일보등 중국매체들은, 이 신문이 지난 2014년 우산혁명당시부터 센트럴점령사건등 반중시위대들의 시위를 고무하고 찬양하면서 신문기사와 트위터를 통해 선동한 대표적인 반중언론이었다고 보도했다.

 

 

인민일보는 지난해 범죄인 인도법개정 반대시위가 극에 달했을 때인 10월,  사주 지미라이가 ' 미국의 이익을 위해 싸우겠다'는 말을 공공연하게 하고 다니며, 자기가 소유한 신문을 통해 반중시위대를 선동하는 황색저널리즘의 표본이라고 지적하고, 없어져야 할 신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 날 홍콩 국가안보처의 대대적인 체포와 압수수색에 대해 일본의 관방장관이 우려를 표명했다고 전해졌다. 관방장관은 내각의 비서실장같은 역할을 하는 자리이다.

 

그동안 영국과 미국 캐나다 등 서방의 6개 국가들이 미국과 같이 중국을 압박해왔는데, 일본이 처음으로 홍콩사태에 대해 미국과 연대를 시작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리고 홍콩의 외신기자협회도 언론자유의 침해을 우려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사회

더보기
중 아파트 관리 남으면 환급 조치해 인기
‘아파트 관리비, 남으면 환급해준다!’ 한국에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조금씩 일상이 되는 현상이다. 중국 매체들은 ‘아파트 관리금 환급’ 현상에 대해 “사회 경제의 최고 가치인 ‘투명성’이 빛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청두시 진뉴구의 한 아파트 단지가 입주민들에게 남은 관리비를 환급해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난퉁, 쿤밍 등 여러 지역에서도 일부 아파트 단지가 공공수익을 현금이나 관리비 차감 방식으로 입주민들에게 돌려준 사례가 있었다. 아파트 단지의 관리비 잉여금 환급 여부는 관리비 산정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관리서비스 요금 관리방법」에 따르면, 입주민과 관리회사 간에는 ‘포괄정액제(包干制)’ 또는 ‘성과급제(酬金制)’ 등의 방식으로 관리비를 계약할 수 있도록 규정돼 있다. 포괄정액제의 경우, 입주민은 관리회사에 일정한 금액의 관리비를 지불하고, 그에 따른 흑자나 적자는 모두 관리회사가 책임지며, 관리비는 회사의 수입으로 처리되어 입주민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알기 어려운 구조다. 반면 성과급제의 경우 미리 걷은 관리비 중 약정된 비율이나 금액을 관리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