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외교역량 총동원, 아시아 주변국과 외교수장 회담 연쇄 개최.

 

중국의 외교담당 정치국위원인 양제츠가 오늘 한국 부산에서 서훈 국가안보실장과 회의를 가진 가운데, 왕이 외교부장은 남부 하이안다오로 인도네시아와 파키스탄의 외교장관들을 초청해 잇달아 회담을 갖고, 전통적 우방국가들과의 연대감을 과시하고 있다.

 

왕이 중국외교부장은 지난 20일 하이난성의 휴양도시인 산야에서, 인도네시아의 레트노( 蕾特诺 ) 외무부장관과 에릭 ( 艾瑞克) 국가기획장관과 중.인니 의 전통적 우호와 양국의 경제협력방안을 협의하고 코로나19 방역에 지원을 약속하는 회담을 가졌다고 왕이신원등이 하이난성 현지매체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회담에서 왕이부장과 데트노장관은,  아시아의 대국인 중국과 인도네시아가 함께 힘을 합해 신흥 경제대국으로의 발전을 지속하는 한편, 유엔등 국제사회에서 양국의 글로벌전략을 공동으로 추진해 나감으로서, 아시아지역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지켜나가는데 합의했다고 왕이신원은 전했다.

 

특히 왕이부장은, 올해 중국은 인도네시아와의 수교 70주년을 맞아, 중.인도네시아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며 "이제는 장기적 관점에서 양국의 협력사업의 범위를 한층 확대하고 양국의 협력사업을 글로벌로 확대해나가야 할 때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양국의 외교수장은, 코로나19 의 백신 개발 및 방역에서의 협력필요성에 공감하고, 지난주 인도네시아에서 가졌던 중.인도네시아공동 백신개발 협정을 조속히 실천하기로 합의했다.

 

특이 왕이부장은 자국의 코로나 백신개발 상황을 설명하면서, 코로나19 백신은 인류전체의 공공재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인도네시아와 중국의 백신을 공유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왕이부장은 다음날인 21일에는, 파키스탄의 쿠레시(库雷希) 외교부장과도 제 2차 중.파키스탄 전략대화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담에서, 양국 외교수장은  중국의 '일대일로(一大路一大路)'사업이 양국간에 매우 모범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 더욱 박차를 가해 양국의 공동번영을 촉진시키자고 합의하면서,  향후 일대일로사업의 범위를 확대해, 파키스탄의 인적자원에 대한 교육을 지원하고 일자리창출을 통한 빈곤퇴치 그리고 의료와 위생부문에서 중국의 지원을 확대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