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겨울철 코로나19악화우려에, 중국네티즌들 " 방역 철저 화이팅 당부"

 

한국의 코로나19사태가 12월 겨울철을 앞두고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국내 보도는, 중국에도 속보로 전해진다.

 

중국매체들은 한국방송과 외신보도를 인용해 ' 한국의 질병예방통제본부가 지난 21일 이 번 확산사태가 지난 1년 동안중 가장 엄중한 확산사태로 발전할 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토로했다' 는 소식을 국내에 전했다.

 

중국매체들은 11월 말로 접어드는 이 시점의 확산 사태가 진정되지 않으면, 12월에 접어들 경우 매일 600명 이상의 확진자가 생길지 모른다고 우려하며, 한국 상황에 대한 관심과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

 

이 소식을 접한 중국 네티즌들도 이웃 국가로서, 한국의 역병상황이 호전되기를 기원하며 한국인들의 건강을 당부하는 글을 공유하고 있다.

 

 

엄격히 방역하고 통제합시다. 한국 화이팅 !

 

 

엄준한 상황에 확실이 대비해야 해,  개인이 맘대로 하겠다는 생각만 버리면 돼.  그리고 방역과 통제를  엄격하게 !

 

 

빈틈을 놔두면 평안할 수 없어요.  작은 하나라도 다 막으면 재난을 면할 수 있어요.

 

 

(올 겨울) 평안하게 넘어가서, (설 날에 ) 아무 일없이 고향에 가서 설을 지냈으면...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