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고속열차기록 또 경신, 이번엔 자기부상열차로 시속 620킬로짜리 개발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은 중국은 더 빠르게 대량의 인원을 실어나를 수 있는 효율적인 운송수단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기존의 자기부상열차방식보다 더 빠르고 더 안전한 고온방식의 자기부상열차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서부 쓰촨성의 성도인 청뚜의 서남교통대학( 成都 西南交通大学) 는 신화사등 다수매체들이 참석한 가운데 어제 13일 오전, 대학내에서 자체개발한 고온 자기부상열차를 선보이고 시험구간에서의 시운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날 시운전선포식에는, 고속철과 자기부상열차의 개발을 총지휘하는 국영 중국 종처 ( 中国中车 / 차량개발회사 ) 와 중국 종티에 ( 中国中铁 / 선로개발회사 )를 비롯해 중국내 유수한 고속열차관련 기관들이 모두 참석해 합동시험 기념식행사를 가졌다고 매체들이 전했다.

 

 

한편 중국의 국영철도회사인 중국종처 ( 中国中车 ) 는 중국공정원 주재하에, 지난 6월 상하이시 인근에서 시험운행중인 최고속도 시속 600킬로미터의 자기부상열차의 주행모습을 공개했고 지난 9월에는 칭다오에서 올해부터 시험운행을 시작할 자기부상열차 모델차량을 공개했던 중국의 초고속열차개발의 총 본산이기도 하다.

 

당시 공개된 자기부상기술은 저온방식이었으나, 이번에 서남대학이 새롭게 공개한 기술은 고온방식으로, 지난해 선보인 자기부상열차의 최고시속보다 더 빠른 620킬로미터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측은 고온방식의 자기부상열차는 이론적으로 시속 1,000 킬로미터까지 가능하고 저온부상 기술보다 더  안정적 주행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