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트럼프의 탄핵여론이 높아지는 미국에 대해, 중 네티즌들 '미국 분열?'

중국매체 관찰자 왕 ( 观察者网 )이, 미국현지시간으로 14일 보도된 유명여론조사기관인 이솝 ( 易索普, IPSOS)의 '트럼프에 대한 즉각탄핵 여론조사 ' 결과를 전한 데 대해 , 중국의 젊은 네티즌들은 대부분 ' 고소하다, 쌤통이다 ' 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은 11일부터 사흘간 민주당인사 314명과 334명의 공화당인사 그리고 무당파인사 308명등 1,019 명에게 , ' 미국이 지금 분열되고 있는가 ? 라는 질문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즉, 이에 대해 '확실히 그렇다거나 동의한다' 라고 답한 사람이 79명으로 압도적이있고 ' 전반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 고 답한 인원은 20명에 불과했다.

 

 

트럼프의 즉각적인 업무정지를 위한 탄핵등의 조치 필요성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도, ( 그래프 맨 왼쪽 ) 미국전역의 인사들이 일주일 전에  51% 찬성한 것에 비해 5%가 높아진 56% 의 찬성을 보였고, ( 왼쪽에서 두번째 그래프 ) 민주당지지인사들은 8% 가 급증해 94%에 이르렀다고 관찰바왕이 전했다.

 

이와같은 여론조사 관련보도에 대해 , 대부분의 젊은 중국네티즌들은, 한편으로 우려하면서도 그동안 중국을 압박하고 괴롭혔다고 생각했는 느낌을 표출하면서, 올 것이 왔다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 미국이 지금 붕괴되어 서로 갈라지는 건가 ? " " 맞네 "

 

 

 

" 미국풍경이 참 좋구만 ! "

 

 

" 지금 미국은 이미 내우외환에 접어들었네 ! "

 

 

" 미국의 아름다운 풍광 ^^ " ( 이 표현은 미국하원의 펠로시 의장이, 지난해 홍콩 반중시위가 거세져 홍콩의 치안이 어지러워진 광경을 보고 한 말로, 쌤통이라고 비꼬는 것임 )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