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주한 싱하이밍 중국대사 2021년 신년사, " 어둠을 헤치고 서광을 맞이하자"

 

주한 싱하이밍( 邢海明)중국대사가 2021년 신년을 맞아, 새해 한중, 중한관계를 전망하고 양국의 협력으로 새로운 밝은 미래를 기원하면서, 중국전통의 4자성어를 주로 사용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평가된다.

 

중국대사관은 11일 싱하이밍대사가 , 2021년에 새롭게 전개될 한중,중한관계에 관한 소신을 서울신문에 기고한 내용을 공개했는데, 그가 구사한 4자 성어의 깊은 뜻을 풀이하면서, 그 속내를 살펴보도록 한다.

 

싱하이밍 대사는, 먼저 자신이 부임한 올해 초 부터 양국이 코로나19로 인해 고통을 받는 과정에서도,중한간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가 이뤄 진데 대해,  ' 감동 ' 을 받았다고 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出入相友, 守望相助 (출입상우 수망상조) , 즉 ' 들고 나감에 서로 친구를 돕고 서로 지켜줬다' 고 회고했다.

 

이 말은 맹자 《孟子·滕文公上》 편에 나오는 말로, 뒤에  ' 疾病相扶持' , '질병에 서로 돕자' 란 말이 뒤 따라 나온다. 

 

싱대사는 지난해 2월 부임할 때의 인사말에서도 , 守望相助 同舟共济 (수망상조 동조공제) 란 4자성어를 사용해 , "중국과 한국이 서로 도우며 , 같은 배를 타고 어려움을 건너자 " 라며 중국과 한국의 친밀한 관계설정을 강조한 바 있다.

 

守望相助 [ shǒu wàng xiāng zhù ] 는 위에서 본대로 맹자에 나오는 말이고 ,同舟共济 [ tóng zhōu gòng jì ] 는 손자 (孙子· 九地) 편에 나오는 말이다.

 

이 말은 또, 시진핑 주석이 2020년 2월 몽고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인민대회장에서 환영식을 가지며 이웃국가인 몽고와 함께 돕고 번성하자는 의미로 사용한 말이기도 하다.

 

싱하이밍대사는 또 ,  '豈曰無衣, 與子同裳 (기왈무의, 여자동상 ) 즉, 옷이 없을 때 전포를 함께 나누다' 라는 한중간의 우정에 감동을 받았다고 회고 했다.

 

이 말은 중국 4서3경의 하나인 시경 ( 诗经)에 나오는 말이다.

 

싱대사가 이 성어를 언급한 것은 코로나19로 어려웠던 시기에 , 중국에 유학중이던 한국유학생들이 자신이 거주하는 중국도시의 골목방역에 자원봉사를 서슴지 않았고, 서울의 잠실 롯데 타워 외벽에는 " 武漢加油, 中國加油 " (우한 지아요 중국 지아요/ 우한 힘내라 중국 파이팅) 이라는 글귀가 밤하늘을 수놓았던 당시를 회고한 것이다.

 

또 중국은 이에 호응하듯이 , 한국 대구에서 많은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중국에서도  " 대구힘내라, 한국 힘내라' 라는 성원이 중국 전역에 울려 퍼져 서로를 격려해 왔다고 기술했다.

 

싱하이밍 대사는 이와같은 양국민의 서로도움을, 長風破浪 ,直掛雲帆 ( 장풍파랑, 직괘운범 ) 으로 표현했다.

 

이 말은 중국의 유명한 시인인 이백 ( 李白)이 行路难 ( 행루난 / 어려운 길 ) 이란 시에서, " 长风破浪会有时,直挂云帆济沧海” (거친 바람을 타고 물결을 헤쳐나가, 구름 돛 높이 달고 바다를 건너리다) 라는 시어로 인생의 고난을 비유한 대목을 축약해서 인용한 것이었다.

 

싱하이밍대사는 이어, 올해 2021년은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으로서 그동안 중국이 추구해온 2개의 백년 목표중, 첫 번째 100년목표가 완성된 해이며, 두 번째 100년 ( 20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100주년) 목표를 시작하는 제 14차 5개년 계획을 시작하는 해이면서, 또 한중간 수교가 시작된 1992년 이후 '한중수교 30주년 ' 을 맞는 해라고 전제하고, 밝고 많은 성과가 있기를 기원했다.

 

그는 이러한 중요한 해가 시작되는 올해의 중한관계에 대한 각오와 바램을 , 雲開方見日, 潮盡爐峰出 ( 운개방견일, 조진노봉출 ) 즉, ' 어두움을 헤치고 곧 희망의 서광을 맞이한다 '라는 싯귀로 표현했다.

 

이 시는, 당나라 시대의 이백과 필적하는 유명한 시인 대숙윤( 戴叔伦 / 732—789) 의 시 가운데 한 귀절을 인용한 것이다.

 

싱하이밍대사는 14억 중국인 가운데 한국에도 능통하면서 한국을 가장 잘 아는 고위인사로 꼽힌다. 그의 이력을 보면 더욱 명확해진다.

 

 

본지 20년 5월 25일자 기사 " 한국통 중국대사 '남과 북, 중국없이는 문제 해결 불가'. ①

 "한국통 중국대사 '남과 북, 중국없이는 문제 해결 불가'. ②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