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프랑스와 중국 갈등 고조, 상호 대사 초치

"유럽연합(EU)과 중국이 신장(新疆) 위구르 자치구 인권 문제를 두고 제재를 주고받은 가운데, 서로 상대측 대사까지 초치하면서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우리에게 전해진 소식이다.

중국 인권 문제로 유럽, 특히 프랑스와 중국이 갈등을 빚고 있다는 소식이다. 

보도에 따르면 장이브 르드리앙 프랑스 외교부 장관은 22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주프랑스 중국대사가 유럽의회 의원, 외교관과 연구원에게 한 발언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그를 불러 항의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소식은 로이터, AP통신 등이 잇따라 보도했다.

이번 프랑스의 조치는 지난달 루사예(盧沙野) 주프랑스 중국대사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위반했다면서 올해 여름 대만을 방문하기로 한 프랑스 의원들에게 경고한 이후 벌어졌다.

루사예 대사의 발언이 나오자, 지난 19일 프랑스 싱크탱크 전략연구센터의 앙투앙 봉다즈 박사는 루 대사를 비난했고, 루 대사는 이에 맞서 앙투앙 봉다즈 박사를 '삼류 폭력배'라며 깎아내리기도 했다.

 

다음은 중국 네티즌들의 생각이다. 

 

서양에서 광견병이 유행하네, 중국은 몽둥이를 들어 올려서, 미국의 앞잡이들을 혼내줘야겠다.

 

광견들의 이빨이 낡아 빠졌어.

 

반드시 몽둥이를 준비해서, 맞춤형 제재로 서방 광견들을 아프게 해야 해!

 

마크롱 대통령과 프랑스 가죽은 간지러워, 가르침이 부족해!

 

프랑스 : 내가 항복하는 속도가 아주 빠르면, 적들은 나를 칠 수 없어.

 

통쾌해!

 

음. 중국에도 국뽕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아쉽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