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화장품기업 950만 여개, 내수 화장품시장 4,553억 위안 (한화 78조 원)

 

 

중국내 화장품 생산기업수가 지난 해 말 현재까지 약 950만 여개에 이르는 가운데, 지난 5년 동안 화장품생산기업들의 신규 등록 평균성장률이 약 20% 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상하이시에서 발행하는 펑파이신원은, 중국에서 화장품생산회사로 신규등록한 회사들이 지난 2019년과 2020년 2년 동안 각각 250만개와 300만 개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 2년 동안에 무려 약 550만 개의 국산 화장품 생산회사가 등록하면서, 이로 인해 중국시장내의 중국자국산 화장품의 비중이 80% 이상으로 역시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중국의 화장품회사의 급증현상은, 14억 소비자들의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가  4,553억 위안 , 즉 한화 환산 약 78조 원의 거대한 시장으로 성장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위의 막대그래프중 오른 쪽 2개 년도의 그래프의 상승모습으로도 명백하게 증명되는 이 같은 국산화장품회사의 급증은, 그동안 중국시장을 석권해 왔던 한국 일본 유럽등의 수입화장품들의 노우하우가 , 이 시기를 계기로 국내 회사들에게 거의 완전하게 기술 이전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이 매체는 해석했다.

 

펑파이 신원은 또 2020년 말 현재의 950만 여개의 국산화장품 기업들 가운데, 광동성의 기업이 약 970,000개에 달해 10.4%를 차지하며, 산둥성 기업은 890,000개로 9.5%를 차지해 광동성과 산동성이 중국 국산화장품산업을 선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