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의료봉사단, 레바논평화유지군에 중국산 코로나 백신 접종 지원

 

 

중국의 평화유지의료부대 ( 维和医疗队) 가 레바논에 주둔중인 유엔 평화유지군의 군인들에게 자국산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활동을 벌였다고 신화사가 오늘 사진 기사로 보도했다.

 

중국 산 코로나 백신은 그 효능에서 적지않은 국가에서 의심을 받고 있다. 백신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돌파감염률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행히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사례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런 수준이라면 맞는 게 무조건 이익이 될 수는 있다. 

파스칼의 경우의 수 논리 이야기다.

 

파스칼은 그의 작품 팡세에서 신을 믿어야 하는 이유로, 신이 있을 때 믿으면 이익, 신이 있을 때 안 믿으면 손해, 신 이 없는 때 믿으면 무익, 무손해, 신이 없을 때 안 믿으면 무익, 무손해라고 분석해 신은 있건 없건 믿는 게 좋다는 논리를 폈다.

이 같은 논리가 중국 백신에 적용된다면 맞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신화사는 자국의 의료진들이 어제, 레바논 남부의  리베얼싸지 지역의 레바논 군 병영에서 코로나19 접종 지원활동을 벌여 첫날에 260명에 대해 접종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이번 접종활동을 통해 자국 백신의 우수성에 대한 홍보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파스칼의 논리 탓에 그의 여동생은 평생을 수녀원에서 보냈다. 

 

 

 

이날 사진들은 중국 의료진이 줄을 선 장병들을 일일히 체크하고 백신을 놓는 모습으로 구성돼 있다. 실제 중국 당국의 이 같은 활동은 외지에서 근무하는 장병들의 심리에는 크게 도움이 됐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신화사는 이어 오늘까지 어떤 불량반응현상도 보고되지 않았다고 덧붙혔다. 역시 인명사고 등의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간단히 "파스칼의 논리를 생각해서 맞을만 하지"하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