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방탄소년단<봄날>가사로 중국어 공부하기

 

 

 

 

얼마 전 방탄소년단이 한국 최초로 빌보드 어워즈에서 톱 소셜 아티스트상을 수상했죠 

Please army remember what we say, 
love myself, yourself.

아미, 우리가 하는 말을 기억해줘요.
자기 자신을 사랑하기로 해요.

방탄소년단은 그간 청춘의 방황, 성장을 노래해 왔고.
꾸준히 팬들에 대한 사랑을 표현해온 만큼
이런 소감이 진정성 있게 다가오는 것 같아요.  

스티커 이미지

그럼 뜨거운 여름, 
방탄소년단의 겨울 노래 <봄날> 가사를 보면서 더위를 식혀볼까용

스티커 이미지

추운 겨울 끝을 지나 
度过最后的寒冷冬天 

度过
dùguò
(시간을) 보내다, 지내다
寒冷
hánlěng
한랭하다, 춥다


다시 봄날이 올 때까지
再到春天来临的时候 

zài
다시
春天
chūntiān
봄날
来临
láilín
이르다, 도래하다, 오다
到~的时候
dào~deshíhou
~할 때까지

꽃 피울 때까지 
到花朵开放的时候 

花朵
huāduǒ
꽃(잎)
开放
kāifàng
개방하다, (꽃이) 피다


그곳에 좀 더 머물러줘 
在那地方 多停留一会儿吧

多~一会儿
duō~yíhuìr
좀 더~해줘
(一会儿은 약간 청유의 어감을 담고 있어요)
停留
tíngliú
머물다

번역 출처 : 해동주말 47호 k-pop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석탄도시로 유명했던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 경제 관광 도시로 변신에 성공해 중국에서 화제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문화

더보기
[영 베이징] '관광+ 문화' 융합 속에 베이징 곳곳이 반로환동 변신 1.
‘문화유적 속에 열리는 여름 팝음악 콘서트, 젊음이 넘치는 거리마다 즐비한 먹거리와 쇼핑 코너들’ 바로 베이징 시청취와 둥청취의 모습이다. 유적과 새로운 문화활동이 어울리면서 이 두 지역에는 새로운 상권이 형성됐다. 바로 관광과 문화 융합의 결과라는 게 베이징시 당국의 판단이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시의 놀라운 변화를 새롭게 조망하고 나섰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은 앞다퉈 두 지역을 찾아 르뽀를 쓰고 있다. “평일에도 베이징 시청구 중해 다지항과 동성구의 룽푸스(隆福寺) 상권은 많은 방문객을 불러모았다. 다지항의 문화재 보호와 재생, 룽푸스의 노포 브랜드 혁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소비 경험을 제공했다. 그뿐 아니라, 올여름 열풍을 일으킨 콘서트가 여러 지역의 문화·상업·관광 소비를 크게 끌어올렸다.” 베이징완바오 기사의 한 대목이다. 실제 중국 각 지역이 문화 관광 융합을 통해 ‘환골탈퇴’의 변신을 하고 있다. 베이징시 문화관광국 자원개발처장 장징은 올해 상반기 베이징에서 ‘공연+관광’의 파급 효과가 뚜렷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형 공연은 102회 열렸고, 매출은 15억 위안(약 2,934억 6,000만 원)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