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주요 기업들, 반도체 투자 열풍...차이나모바일도 나서



중국 최대 통신기업인 차이나모바일(中國移動通信)이 본격적인 반도체 생산에 나섰다.
같은 날 럭스쉐어정밀(Luxshare Precisionㆍ立迅精密)이 반도체 사업에 뛰어들었다. 럭스쉐어정밀은 중국 최초의 애플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 기업이다.
중국의 주요 기업들이 속속 반도체 생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미국발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 당국의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8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이 장쑤(江蘇)성에 반도체 설계 및 제조 전문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 자회사는 신성 테크라는 불린다. 자본금은 5천만 위안(약 88억 원)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관련보도는 중국의 기업 정보 관련 회사인 치차차(企査査)를 인용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 관계자는 지난주 베이징에서 열린 자회사 창립 기념식에서 사물인터넷을 위한 반도체 설계 및 생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차이나모바일의 행보가 주목되는 것은 차이나모바일이 지난 5월 말 현재 9억4천280만 명의 가입자를 거느린 세계 최대의 통신사업자이기 때문이다.
차이나모바일과 별도로 럭스쉐어정밀도 최근 장쑤성에 반도체 생산 전문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의 자본금은 3억 위안(약 529억 원)이다. 
이 두 회사의 이 같은 행보는 중국 당국이 뒷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중국은 미국이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주도하면서 극심한 반도체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사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생산설비 확충이 절실한 것이다. 
실제 SCMP에 따르면 중국의 164개 반도체 기업들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사모펀드로부터 400억 위안(약 7조원) 상당의 자금을 투자받은 상태다. SCMP는 이 같은 보도를 지난달 30일 미국의 대형 법률회사인 '캐튼 뮤신 로즌먼'과 반도체 산업 자문회사인 'JW 인사이츠'가 공동으로 발간한 보고서를 인용해 전했다. 
400억 위안의 투자는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지난해 1년간 사모펀드로부터 투자받은 액수와 비슷하다. 1년간 이뤄졌던 투자가 5개월만에 집행된 것이다. 중국 당국의 입김 없이는 어려운 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당국의 이런 입장을 반영해 올해 1월부터 5월 사이 신규 등록된 중국의 반도체 관련 기업만 1만5천700여 곳에 달한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실제 반도체 칩 생산량도 크게 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 5월 반도체 칩 생산은 299억 개에 달한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7.6%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반도체 공급부족 현상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 부족 탓에 중국의 지난달 자동차 생산은 작년 동기 대비 5% 줄었다.
무엇보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제작 기술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14나노(㎚)급의 첨단 반도체 칩을 대량 생산할 능력은 여전히 미비한 상태다. 

 


사회

더보기
석탄도시에서 친환경 관광도시로, 산시 다퉁의 성공적 변화에 글로벌 이목 쏠려
탄광 도시의 생존은 한국을 비롯한 각국의 주요 현안 가운데 하나다. 석탄이 주 연료이던 시절 번화했지만, 에너지원의 변화와 함께 석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고, 그 석탄 생산에 의존해 만들어졌던 몇몇 도시들이 생존 위기에 처한 것이다. 한국은 도박산업을 주면서 관광도시로 변모시켰다. 중국에서는 이런 정책 지원 없이 친환경 도시로 변화로 관광 도시로 변화에 성공한 곳이 있어 주목된다. 주인공은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이다. 중국 산시성 다퉁이 과거 ‘석탄 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친환경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전국 최악의 대기질 도시 중 하나로 꼽혔지만 최근에는 ‘다퉁 블루(大同藍)’라는 별칭과 함께 주요 관광 도시로 선정됐다. 다퉁은 오랫동안 석탄 산업에 의존해 왔지만 환경 오염 문제로 큰 타격을 입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전국 대기질 순위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후 당국은 불법 탄광을 정리하고 대형 탄광에는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분진 배출을 크게 줄였다. 일부 광산은 ‘석탄이 보이지 않는 밀폐형 관리’를 도입해 관리 수준을 높였다. 환경 기준 강화도 변화를 이끌었다. 2013년 대기오염 방지 정책 시행 이후 석탄 화력발전소에 ‘탈황·탈질

문화

더보기
중국 스스로 꼽은 3대 관광지, '만세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은 중국 관광지 ‘빅3’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도 중국 10대 인기 관광지에 포함됐다. 중궈신원왕 등에 따르면 메이투안 여행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 여름휴가 핫스폿 및 트렌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름철 국내 인기 관광지는 베이징, 상하이, 시안, 난징, 청두, 광저우, 정저우, 충칭, 뤄양, 항저우 등이었다. 인기 관광지 TOP3는 만석산 무협성, 중산릉 풍경구, 시안 박물관이 차지했다. 보고서는 서북, 동북, 서남 지역의 여러 성(省)에서 관광 열기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지린, 헤이룽장, 랴오닝, 신장 등은 ‘피서 여행 고속 성장 지역’으로 떠올랐다. 목적지 분포로 보면, 1·2선 도시가 여전히 선도했고, 베이징·상하이·시안이 인기 목적지 1~3위를 차지했다. 이들 도시는 중국인들의 인기 관광 목적지로 부동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동시에 하위 도시 시장의 열기도 가파르게 상승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대 이후 세대의 젊은 관광객들이 소규모·특색 있는 관광지로 깊이 들어가 새로운 여행 방식을 발굴했다. 메이투안 여행이 발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