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통신기업인 차이나모바일(中國移動通信)이 본격적인 반도체 생산에 나섰다. 같은 날 럭스쉐어정밀(Luxshare Precisionㆍ立迅精密)이 반도체 사업에 뛰어들었다. 럭스쉐어정밀은 중국 최초의 애플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 기업이다. 중국의 주요 기업들이 속속 반도체 생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미국발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중국 당국의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8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이 장쑤(江蘇)성에 반도체 설계 및 제조 전문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 자회사는 신성 테크라는 불린다. 자본금은 5천만 위안(약 88억 원)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관련보도는 중국의 기업 정보 관련 회사인 치차차(企査査)를 인용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차이나모바일 관계자는 지난주 베이징에서 열린 자회사 창립 기념식에서 사물인터넷을 위한 반도체 설계 및 생산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차이나모바일의 행보가 주목되는 것은 차이나모바일이 지난 5월 말 현재 9억4천280만 명의 가입자를 거느린 세계 최대의 통신사업자이기 때문이다. 차이나모바일과 별도로 럭스쉐어정밀도 최근 장쑤성에 반도체 생산 전문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의 자본금은 3억 위안(약 529억 원)이다. 이 두 회사의 이 같은 행보는 중국 당국이 뒷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중국은 미국이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주도하면서 극심한 반도체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사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생산설비 확충이 절실한 것이다. 실제 SCMP에 따르면 중국의 164개 반도체 기업들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사모펀드로부터 400억 위안(약 7조원) 상당의 자금을 투자받은 상태다. SCMP는 이 같은 보도를 지난달 30일 미국의 대형 법률회사인 '캐튼 뮤신 로즌먼'과 반도체 산업 자문회사인 'JW 인사이츠'가 공동으로 발간한 보고서를 인용해 전했다. 400억 위안의 투자는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이 지난해 1년간 사모펀드로부터 투자받은 액수와 비슷하다. 1년간 이뤄졌던 투자가 5개월만에 집행된 것이다. 중국 당국의 입김 없이는 어려운 일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당국의 이런 입장을 반영해 올해 1월부터 5월 사이 신규 등록된 중국의 반도체 관련 기업만 1만5천700여 곳에 달한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실제 반도체 칩 생산량도 크게 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 5월 반도체 칩 생산은 299억 개에 달한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37.6%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반도체 공급부족 현상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 부족 탓에 중국의 지난달 자동차 생산은 작년 동기 대비 5% 줄었다. 무엇보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은 제작 기술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14나노(㎚)급의 첨단 반도체 칩을 대량 생산할 능력은 여전히 미비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