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가전 신화'의 주인공 장진둥(張近東·58) 회장이 퇴진했다.
장 회장은 중국 최대 가전제품 판매 회사인 쑤닝(蘇寧)을 창업한 인물이다. '가전왕'으로 불려도 무리가 없는 인물이다.
13일 경제지 차이신(財新) 등에 따르면 쑤닝은 12일 저녁 앞으로 장 회장이 '명예 회장'을 맡는다고 밝혔다.
장 회장은 명예회장으로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모든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쑤닝측은 밝혔다. 다만 회사의 중장기 발전을 위한 건의와 기업 문화 전승 등을 지도하는 고문역할을 할 예정이다.
장 회장의 퇴진은 '한 세대의 막'으로 평가된다.
장 회장의 퇴진은 쑤닝의 지배구조 변경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조성한 민관 펀드는 최근 쑤닝 지분을 인수해 사실상 경영권을 장악했다.
쑤닝은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이에 장쑤성 정부는 국유기업인 화타이(華泰)증권과 알리바바 계열사 타오바오(淘寶)·샤오미(小米)·하이얼(海爾)·메이디(美的)·TCL 등 민영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펀드 '장쑤 신유통 혁신 펀드 2기'를 조성해 쑤닝에 투자하도록 했다.
펀드는 지난 9일 쑤닝에 88억3천만 위안(약 1조5천억원)을 출자했다. 확보한 지분은 16.96%에 달한다. 자연스럽게 장 회장의 지분율은 지주회사인 쑤닝홀딩스 지분을 더해 24.94%에서 20.35%로 낮아 졌다.
회사 2대 주주는 19.9%를 보유한 알리바바 계열사 타오바오(淘寶)다. 즉 타오바오는 펀드 투자 지분을 합쳐 사실상 경영권을 행사할 지분율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장 회장의 퇴진과 함께 이사회 구성도 변화가 생긴다. 3명의 독립 이사를 제외한 6명의 일반 이사 가운데 경영권 가진 쑤닝 측 이사가 4명에서 2명으로 줄어들고 민관펀드 측이 임명하는 이사 2명이 빈자리를 채운다. 알리바바 측의 이사 자리 2석은 그대로 유지된다.
알리바바는 우호지분인 펀드의 이사까지 합칠 경우 사실상의 경영권을 장악한 셈이다.
장 회장은 31세이던 1990년 고향인 난징 시내에서 10만 위안(약 1천700만원)을 들고 에어컨 판매점을 열어 사업을 시작해 쑤닝을 일군 자수성가형 창업자다.
장 회장은 지난 4월 발표된 포브스의 세계 부호 명단에서 74억 달러(약 8조4천억원)의 재산으로 339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쑤닝은 이탈리아의 명문 구단 인터밀란을 인수해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쑤닝은 2019년에는 프랑스 대형 유통업체 까르푸의 중국 법인도 인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