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초강력 규제 충격파 던지고 뒷수습 반복…불안한 세계 증시

 

중국 일당 독재의 모순에 빠져드는 형국이다.

하나의 가치를 위해 시장 전체를 희생시키는 일이 생기자 뒤늦게 수습하고있지만 시장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일당 독재의 힘이 주체하지 못하는 형국이다.  

3일 중국 당국의 "게임은 정신적 마약"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중국 게임 산업 전체가 출렁였다.

중국의 세계 최대의 게임시장이다.

그런 시장에 중국 당국의 발언 규제의 칼을 뺀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앞서 중국은 사교육시장을 아예 금지시키는 조치까지 내놓았다.

중국 중산층이 사교육에 너무 많은 돈을 쓰면서 아이를 낳지 않는다는 분석이 나오자 사교육 시장을 아예 말살한 것이다.

중국의 사교육 시장 역시 세계 최대의 시장이다. 적지 않은 회사들이 미국 증시에 상장까지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당국의 조치가 나오자 미국 증시에서 중국 사교육업체들의 주가가 폭락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23일 사교육업체들의 영리행위를 금지시켰다. 다만 신규 허가를 내주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기존 사교육업체의 이익을 최소한 보장했다.

당국 조치로 1천200억 달러(약 137조 원) 규모로 추산되는 중국 사교육 시장이 문을 닫은 것이다.

파장은 더 컸다. 지난 26∼27일 양일간 중국 본토 증시에서만 4조3천억 위안(약 762조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하고 세계 증시에서 1조 달러에 가까운 공황 매도가 발생했다.

그보다 앞서 중국 당국은 당국의 방침에 대항하는 빅테크 업체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디디추싱이 당국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 상장을 강행하자, 아예 디디추싱의 신규 앱 다운로드를 금지시켰다. 당국에 의한 시장 퇴출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게임은 마약이라는 말이 나오자 중국 시장은 당연히 출렁이기 시작한 것이다.

게임 산업의 사단은 신화통신의 경제지 경제참고보(經濟參考報)의 기사 한 편이었다.

제목은 '정신적 아편이 수천억 가치의 산업으로 성장했다'는 기사였다.

신문은 기사에서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 문제를 지적하며 당국이 더 강력한 규제를 촉구했다.

보도가 나오자 마자 중국 게임 대장주 텐센트와 넷이즈 주가가 3일 각각 6%대, 7%대 폭락했다.

파장은 중국 내에만 그치지 않았다. 홍콩, 한국, 미국, 유럽 등지의 게임 산업 주가가 동반 급락했다.

파문이 커지자 경제참고보는 해당 기사를 온라인에서 급히 내렸다.

'정신적 아편'이라는 표현을 뺀 기사로 대체했다.

하지만 이런 뒷수습 시도에도 전날 텐센트 한 종목의 시가총액만도 한때 600억 달러(약 69조원) 달러 이상 증발했다. 세계 각국에서 주가 폭락액을 합치면 금액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의 발언 하나가 전세계 게임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것이다.

일단 중국 당국이 이 같은 시장 반응에 한걸음 물러나는 태도를 취했지만, 그 뜻을 바꿔다고 보기는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집권이래 동양적 가치의 도덕관을 강조해왔다. 

이 가치관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은 청소년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는 '유해 산업'이다. 

이에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1차 아편전쟁이 끝난 1842년 홍콩을 영국에 영구 할양했기에 아편은 중국에서 매우 민감한 말"이라며 아편이라는 단어에 주목했다. 중국 지도부가 게임에 대해 얼마나 나쁘게 생각하는 지를 잘 보여준다는 것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미국 투자자들만도 중국 기술주에만 1조 달러(약 1천144조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 투자도 적지 않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텐센트, 알리바바 등 주요 중국 빅테크에 대한 국내 투자들의 투자액은 총 9억9천327만 달러(약 1조1천363억원) 가량이다.

중국 당국의 조치에 이들 투자자의 투자금이 휴지조각이 될 수 있음을 최근 일련의 사태가 증명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장관이대에서 고농현허까지 사자성어로 본 중국 AI 조작 광고 사기행각
“‘장관이대’(張冠李戴) 광고 사기 수법을 아시나요?” 중국 매체가 AI조작을 통한 사기판매 행각을 사자성어로 정리해 눈길을 끈다. 대표적인 성어는 ‘장관이대’(張冠李戴)다. 본래 뜻은 장씨의 관모를 이씨가 쓰고 있다는 의미다. 흔히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 자리를 앉아 권한을 행사할 때 쓴다. 또는 일은 장씨가 하는 데 생색은 이씨가 낸다는 의미도 있다. AI 조작 사기에서는 유명 연예인이 광고한 적 없는 데 AI로 조작해 유명 연예인이 모델로 나서 광고하는 브랜드인양 속이는 것을 말한다. 유명 연예인이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에 대해 일반인들은 제품이 하자가 있거나, 사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기 때문에 이용되는 수법이다. 가장 보편화된 AI 조작 광고 수법이다. 이 보다 한층 심각한 범죄가 ‘무중생유’(無中生有) 수법이다. 성어 의미는 완전한 거짓이라는 뜻이다. 없는 곳에서 물건을 있다고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AI 조작 사기광고에서는 단순히 모델로만 유명 연예인을 AI 조작해 등장하도록 하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마치 없는 할인 행사를 하는 듯 광고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속이는 것이다. 할인 혜택이 있는 예약 구매를 유도하는 듯한 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