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빅테크 기업 규제 갈수록 강화, 인터넷 부정경쟁 금지 규정 신설

 

중국 정부의 자국 빅테크 기업 길들이기가 계속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번엔 인터넷 부정경쟁 방지 규정 제정을 추진하고 나선 것이다.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17일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정식 법안 명칭은 '인터넷 부정경쟁 행위 금지 규정안'(이하 규정안)이다. 이날 당국이 공개한 법안에 따르면  이 규정은 인터넷 분야에서 부정경쟁으로 간주되는 많은 행위를 상세히 열거하고 있다.

이 규정의 상위법은 반(反)부정경쟁법, 전자상무(비즈니스)법이다.

중국 당국은 내달 15일까지 공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 규정안은 빅테크 기업들의 향후 영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규정에 따르면 인터넷 사업자는 기술적 수단을 동원해 이용자들의 선택권을 제약하거나, 특정 입점 업체의 고객 유입량을 제한하는 등의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

또 인터넷 사업자는 자기 플랫폼에 입점한 업체가 경쟁 플랫폼에는 가입하지 못 하게 해도 안된다.

이 규정 등은 반독점을 더욱 세부적으로 강화한 것들로 보인다. 

관련해 시장감독관리총국은 지난 4월 알리바바가 입점 상인들에게 '양자택일'을 강요했다고 결론 내리고 사상 최대 규모인 182억2천800만 위안(약 3조1천억원)의 반독점 벌금을 부과했다.

시장에서는 일부 규정은 추상적이고 모호해 해석하기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당국이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법에 걸리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대형 인터넷 업체들이 향후 규정을 준수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0월 알리바바 창업주 마윈(馬雲)의 공개적인 정부 비판 이후 빅테크 업체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길들이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당국의 이 같은 기조는 한동안 강화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현행 법규를 갖고 인터넷 기업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은 물론 향후 5년 단위의 중장기 법제 로드맵 문건에서 반독점 관련 입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중국 대형 기술주들의 주가는 이날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이날 홍콩증권거래소에서 바이두(百度)와 넷이즈(網易) 주가는 장중 5% 이상 급락했다. 대장주인 텐센트와 알리바바 주가도 4%대 하락했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