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내년 수교 30주년 앞두고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 출범

 

한중 관계의 미래를 고민하는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가 24일 공식 출범했다.

반민반관의 1.5트랙 협의체 성격이다.

이 위원회 한국 측 위원들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온·오프라인 형식으로 출범식을 겸한 제1차 전체회의를 열었다.

이 위원회에는 한중 양국의 외교·입법·학계 등의 분야 전문가 각 18명씩 모두 36명이 참여하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영상 축하 메시지를 통해 양국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신속 통로 개설, 동북아방역보건협력체 출범, 원활한 경제 교류 등을 해 왔다고 밝혔다. 또 "한국과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책의 여정에 있어 핵심 파트너로서 적극 협력해 왔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어 "앞으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양국이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도 영상 축사에서 "한중 수교 29년 동안 한중 관계는 빠르게 발전해 두 나라 국민들에게 이로울 뿐 아니라 역내 및 세계 평화와 발전에도 크게 기여해 왔다"고 평했다. 또 "복잡한 국제정세 속에서 한중간 우호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시대와 민심, 양국의 근본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상황에서 "한중관계 미래발전위원회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해 출범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한국 측 위원장인 임채정 전 국회의장, 집행위원장인 홍현익 국립외교원장 등이, 중국 측에서는 위원장인 장핑 전(前)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부위원장, 집행위원장 왕차오 중국인민외교학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출범식과 함께 진행된 전체회의에서는 미래계획, 정치외교, 경제통상, 사회문화 등 각 분과의 양측 위원들이 1년간 위원회의 운영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위원회는 분과별로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30년간의 양국관계 발전 로드맵을 마련, 내년 한중수교 30주년 기념일(8월 24일) 전에 양국 정부에 조언할 예정이다.

앞서 한중 양국은 지난해 11월 26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위원회 출범에 합의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