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는 스칸듐, 세륨, 네오디뮴, 이트륨 등 17개 희소 광물질의 총칭이다. 휴대전화, 전기차 배터리, 스텔스 전투기 등 첨단기기 부품에 필수적인 원료인데 채굴, 정련, 합금화 과정에서 막대한 환경오염이 발생돼 미국, 호주 등 선진국들은 대부분 직접 생산보다 수입을 하고 있다. 현재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중국이 최근 희토류 채굴 허용량을 사상 최대로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 희토류 채굴량을 16만8000t, 제련·분리 허용량을 16만2000t으로 결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20% 늘어난 규모다.
중국이 희토류 생산을 늘린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원인으로 꼽힌다. 미얀마 등 다른 희토류 생산국들이 수출을 줄이자 중국이 자국내 생산량을 늘려 글로벌 수급을 맞추고 나선 것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얀마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 교역을 통제하면서 중(重)희토류 수출을 중단했다.
중국 당국의 이번 희토류 쿼터 증가분은 북방희토, 광둥희토 등 6개 국유기업이 할당받았다. 중국은 국유기업 개혁과 생산 효율화를 위해 6개 기업 간 합병을 추진 중이다.
한편 중국은 지난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시기에 희토류 수출을 제한해 일본 기업들에 큰 타격을 입히기도 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 국면에서도 중국이 희토류를 전략 무기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생산량 확대를 결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