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KT 인터넷 먹통 사태에 中네티즌 "무인운전 차량의 인터넷이 끊긴다면"

 

지난 25일 한국이 잠깐 '오프'됐다.

국가 기간 통신망인 KT통신망이 오작동으로 불통이 되면서 80분간 한국의 일상이 멈춰서야 했다.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이 중단됐고 기업들의 전산회계 시스템이 멈춰섰다. 식당, 마트 등에서는 신용카드 결재가 이뤄지지 않아 현금을 써야만 했다.

통신 대국이라는 한국에서 믿기 힘든 일이 벌어진 것이다. 만약의 사태를 대비한 비상망이 있지만 그마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만약 전시나 대형 재해가 발생했다면 그 피해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다.

한국 소식은 요즘 바로 실시간으로 중국에 전해진다. IT시대의 특징이다. 한국은 장벽이 없지만 중국에는 장벽이 있어 양국간 정보의 비대칭이 큰 게 문제일 뿐이다.

한국의 온라인 시스템 오프 소식은 바로 중국에 전해졌다. 

중국에서도 한국의 온라인 시스템은 알아주는 선진 기술이요, 기반이다. 중국은 땅이 넓은 탓에 한 단계 통신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과 공이 들어간다.

하지만 한국은 곧바로 서비스가 업그레이도 된다. 미국과 유럽 등도 부러워하는 통신 수준이다. 

이런 한국에서 예상 밖의 사고가 나자 중국 네티즌들 역시 놀란 모양이다. 당장 중국에서 비슷한 일이 생기면 어떻게 할지 걱정이 앞서는 모습이다.

"현대인들은 하늘의 눈을 잃게 되면 시각장애인이 돼." 한 네티즌의 댓글이 눈에 띈다. 요즘 통신 오프는 시각장애와 같은 효과를 내는 게 사실이다. 

 

나는 왜 미국이 생각나지?

 

현대인들은 하늘의 눈을 잃게 되면 시각장애인이 돼.

 

장래에 가장 공포스러운 일은 아마도 인터넷 끊김일 거야.

 

무인운전 차량에 인터넷이 없으면 어떻게 되나.

 

휴대전화만 가지고 나서는 나는, 집에 갈 수 있을까?

 

주머니에 현금을 넣어다니는 것은 매우 필수적이야.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