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 352개 중국산 제품 관세 면제 부활

 

미국이 352개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부과 예외 조치를 부활시켰다.

미중 무역 갈등이 조금 누그러지는 모습이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23일(현지시간) 관세 적용을 받는 중국산 제품 549개 가운데 352개 품목에 대해 관세 부과 예외를 다시 적용한다고 밝혔다.

USTR은 이번 결정으로 중국산 수산물을 비롯해 화학, 섬유, 전자, 소비재 제품 등이 관세 혜택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전격적으로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부과 제외를 부활하기로 한 것은 인플레이션을 잡고 공급망 교란 사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우크라이나 사태 국면에서 중국이 러시아를 지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두 나라를 떼어 놓기 위한 방책으로 제시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 2018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2200여 개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무더기 관세를 적용해 중국과 무역 갈등을 촉발한 바 있다.

양국은 2020년 549개를 제외한 나머지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 예외를 적용하기로 합의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미국은 추가적인 관세 부과 예외 조치 확대를 검토해 왔지만 대만, 홍콩, 신장 인권문제 등으로 양국 관계가 경색되면서 진척되지 못했다.

한편 중국은 미국의 이번 조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줴팅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4일 브리핑에서 "물가 상승으로 세계 경제 회복이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미국이 양국 소비자들의 근본 이익 관점에서 출발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모든 고율 관세를 취소하고 양국 간 무역이 정상 궤도로 돌아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