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오쩌둥 손자 팽 당했나?

안녕하세요. 해동의 8일 중국 뉴스 브리핑입니다. 중국식으로 시진핑 주석부터 서열 순으로 보도 들어갈까요? 

 

시 주석이 7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통화해 북핵 문제에 대해 논의를 했다고 합니다.

 

한반도 문제를 왜 독일이랑 논의했을까?
얼마 전에 왕이 외교부장도 독일 외무상과 논의를 하더니 말이죠. 뭔가 분명히 중국이 원하는 게 있는 것 같은 데 딱 잡히지 않네요. 
일단 시 주석은 북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고, 메르켈 총리도 공감했다고 하니, 국제 외교무대에서 중국은 북한 제재에 반대파로 끌어들일 친구를 하나 확보한 셈이라고 할 수 있겠죠. 현재 중국 외교는 이렇게 반미친구(反美亲欧)  양상이네요.
역시 사드 문제로 계속 시끄럽네요.
중국 외교부가 7일은 한국과 엄중 교섭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정례브리핑에서는 "다시 한번 사드 철회를 요청한다"고 강조했고요. 참 북핵도 요 정도만 해주시지.
이건 사진 빼고 갑니다.

 

다음 소식은 19차 당대회 관련한 소식입니다. 어제 19차 당대회에 참석하는 군과 무장경찰 등의 대표 303명의 90%가량이 새로운 인물이라는 소식 전해드렸는데. 재미있는 게 그중에는 마오쩌둥의 적손 마오신위(毛新宇) 소장이 빠졌다고 하네요. 

 

시 주석은 마오를 쫓는다고 했는데, 이제 마오를 내쫓는 모양이군요.

솔직히 마오신위는 그동안 말 그대로 대접 잘 받았죠? 여러 가지로 누가 봐도 자질이 부족해 보이는데도 말이죠. 어쨌든 중국 공산당 19차 당대회는 뭔가 달라질 모양입니다. 지금 중국에서는 관련한 선전물이 대대적으로 방송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인물 소식 하나 전해드리죠. 
중국의 골칫거리죠. 부패 혐의로 미국에 도피한 뒤 중국 지도부의 각종 비리를 폭로해온 궈원구이(郭文贵 50) 정취안 홀딩스 회장이 미국에 망명 신청을 했다고 합니다. 

 

자 오늘도 이 정도만 하겠습니다. 아직 중국에서는 우리를 즐겁게 한 소식이 없네요. 참 아쉽습니다. "중국이 사드 보복을 철회하고 한국을 적극 지지해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대화에 나서도록 만들었습니다." 이런 소식을 전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