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설) 대이동의 서막이 올랐다. 올해는 코로나19 팬데믹 후유증을 완전히 벗어나 춘제 이동 규모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6일 중국 현지 매체 중국청년보(中国青年报)에 따르면 올해 춘절 연휴 기간의 수송량은 작년 대비 6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단체여행, 가족 단위 이동이 많으며 특히 노인, 장애인, 아동 등 도움을 필요로 하는 승객수가 평소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또 춘제 연휴에 베이징서우두국제공항(北京首都國際機場) 이용 승객은 720만 명(40일 간 1일 평균 18만 명). 항공편은 4만 6000편(1일 평균 1161회)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유동량은 연휴 직전인 2월 8일(음력 12월 29일)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리왕(李望) 서우두공항 터미널관리부 서비스 담당은 춘절 대이동 기간 동안 서우두공항은 ‘중국의 제1 관문, 따뜻한 마음을 서우두에서(第一国门,让爱聚首)’라는 서비스 정신을 강화해 운행 효율 제고는 물론 출입국 승객이 불편함 없이 여정을 즐길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26일 서우두공항은 공식 위챗 프로그램과 앱을 전면 업데이트 하였는데 새로운 버전은 유저 프렌들
중국 본토와 홍콩의 증시에서 최근 3년 간 영국의 연간 GDP 두 배에 해당하는 약 6조 달러(약 7990조 원)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중국 증시는 가장 최근 최고점에 도달한 2021년 2월 이후로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와서도 홍콩 항셍지수는 10%,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지수는 각각 7%와 10% 하락했다. CNN은 골드만삭스 투자보고서를 인용해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의 증시가 지속적인 하락을 보이는 원인으로 "부동산시장 침체, 디플레이션 우려, 지방정부들의 천문학적인 부채, 출산율 감소, 민간 부문을 동요시키고 외국 기업을 위협하는 이념 중심 정책 등"을 꼽았다. 또 지난해 중국 경제가 5.2% 성장한 것을 두고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제외하면 1990년 이후 가장 느린 확장 속도"라며 "국제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성장이 더욱 둔화돼 올해 4%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도했다. 특히 "현재의 경기 침체는 본질적으로 구조적이며 쉽게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중국은 향후 수십 년간 침체가 이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당국은 최근 리창(李强) 총리의 증시
'6.1%' 지난해 중국 전체 주민의 가처분 소득 증가폭이다. 중국 경제 성장률보다 높다. 중국 가계가 여전히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금액은 728만 원 수준이다. 3790만 원 가량인 한국에 비해 크게 적다. 세계 1위 인구 대국인 중국이 도농간에, 자본과 비자본 사이의 빈부격차가 심해 나오는 현상이다. 원자바오 전 총리는 그래서 "중국은 합치면 크지만, 나누면 아무 것도 아닌 나라"라고 말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023년 중국 전국 주민 가처분소득과 소비지출 데이터'를 17일 발표했다. 2023년 중국 주민 1인당 가처분 소득은 3만 9218위안(약 728만 원)으로 전년 대비 명목상 6.3% 증가했다. 물가 요소를 차감한 실질 증가율은 6.1%였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도시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5만 1821위안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고(이하 전년 대비 명목 증가분), 농촌 주민의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만 1691위안으로 7.7% 증가했다. 31개 성(省)급 지역 중 1인당 가처분 소득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곳은 상하이, 베이징, 저장, 장쑤, 텐진, 광둥, 푸젠, 산둥 등 8개였다. 그 중 상
지난 2023년 중국 인구가 14억 967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줄었다. 중국 인구가 줄고 있는 것은 벌써 2년째다.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인구 구조 변화가 본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16∼59세 노동연령 인구는 여전히 전체 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인구 구조가 항아리 모양을 이루면서 소위 인구 고령화 문제는 아직 본격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023년 중국 인구 통계 보고서'를 1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중국 본토(홍콩, 마카오, 대만 및 외국인 제외) 인구는 14억 967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08만 명 줄어든 수치로 2년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인구 감소는 국가의 잠재성장력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중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도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중국 인구의 고질적인 문제인 남녀 성비차 역시 여전히 컸다. 성별로는 남성이 7억 2032만 명, 여성이 6억 8935만 명을 기록했다. 전통적인 남아선호 사상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방증이다. 연령별로는 16∼59세 노동연령 인구가 8억 6481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61.3%(2022년 62.0%)를 차지했다. 6
중국에서 저금을 가장 많이 하는 곳은 어딜까? 베이징? 상하이? 아니다. 광둥성이다. 광둥성은 중국에서 ‘공장’이 많기로 유명한 곳이다. 제조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장 많은 지역이기도 하다. 베이징과 상하이는 정치와 금융의 도시다. ‘돈 놓고 돈 먹기’하는 업종보다 물건을 제조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게 역시 인류 역사상 가장 확실한 잉여가치 창출의 방법이다. 최근 중국 인민은행이 수치를 통해 광둥성 사람들의 저축 실태를 공개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저축액이 는다는 만고의 진리가 다시 한 번 증명됐다. 광둥성 저축액 증가폭이 더욱 커졌다. 중국인민은행 광둥 지점이 '2023년 12월 광둥성 금융 통계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광둥성(선전 제외, 이하 동일)의 가계 예금은 총 12조 6600억 위안( 약 2359조 원)으로 집계됐다. 광둥성 상주 인구 1억 900만 명(선전 제외) 기준 1인당 예금은 약 11만 6300위안(약 2167만 원)으로 전년 동월(10만 4300위안) 대비 11% 증가했다. 또 광둥성 가계 예금 중 정기예금 잔액은 7조 1200억 위안으로 당좌예금 잔액 5조 5550억 위안의 1.28배
중국 국무원 직속 중앙기업인 중국국영철도그룹(中国国家铁路集团有限公司, China Railway)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속열차 CR450의 시험운행을 올해 완료하고 2025년부터 상업 운행을 시작한다. 중국의 '고속철 굴기'가 머지 않은 미래 글로벌 고속철 시장을 리드하는 단계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지금도 세계 최대 철도망을 자랑하고 있다. 과거 어떤 나라보다 빠르게 전국에 고속철도망을 깔았고 세계 최장 구간의 고속철도망을 구축했다. 고속열차 개발 역시 유럽으로부터의 기술 이전 이후 중국 자체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며 글로벌 고속철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10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철도는 지난 9일 연례 업무회의에서 푸싱(復興) 고속철 시리즈의 최신 모델 CR450의 최대 시속 450㎞ 운행 테스트를 올해 완료하고 내년에 상업 운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철도에 따르면 푸싱 고속철은 철도 노선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 체계로 운영된다. 고속철도 CR400(최대 시속 400㎞, 지속 속도 350㎞), 급행철도 CR300(최대 시속 300㎞, 지속 속도 250㎞), 도시철도 CR200(최대 시속 200㎞, 지속 속도 16
'2만 8526명' 중국 당국이 지난해 12월 농수산물 판매대 조명을 통한 신선도 착시 현상 유발에 대한 단속을 벌여 적발한 상인의 수다. "더 이상 사람의 눈을 조명으로 속이지 말라." 지난해 중국 당국이 농수산물 유통 및 판매 업자들에게 내린 명령이다. 이른바 '신선등(生鮮燈)' 규제 법안이다. 한국도 그렇지만 대다수 농수산물 판매대에는 제품을 가장 신선해 보이도록 만드는 다양한 색깔의 조명이 설치된다. 그런데 중국 당국은 이를 "착시 효과로 소비자들을 현혹시는 행위"로 규정하고 단속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첫 시행된 '신선등 사용 금지 규정'에 대한 단속 결과가 나왔다. 9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이 보도한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자료에 따르면 단속 시행 첫 달에 현지 시장 감독 부서들은 30만 건 이상의 제품을 검사해 농수산물 판매업자 2만 8526명에게 시정명령을 내리고, 시정을 거부한 이들에게는 과태료 62건을 부과했다. '신선등'은 과일, 채소, 육류, 생선 등 농수산물이 더 신선하고 먹음직스럽게 보이도록 다양한 색상을 이용하는 조명기구를 의미한다. 지난해 6월 30일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신선등'이 식품의 외관을 미화
글로벌 사회가 갈수록 인문과 과학기술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 인문은 정체된 반면, 과학기술은 이미 인간의 상상을 넘어서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과거 과학기술은 인간이 이해하지 못했던 자연의 법칙을 발견해 정리하는 게 주업이었다. 현대에 와서는 인간의 상상을 구현해내는 일이 본업이 됐다. 인문학은 인간이 꿈을 꾸도록 하는 분야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인간의 꿈이 과학기술의 발전을 더 이상 이끌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과학기술이 인간이 꿈을 규정짓고 한계를 허무는 역할을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이제 인간은 더 이상 꿈을 꾸지 못하는 것일까? 많은 미래학자들은 대학 교육에 이 답이 달려 있다고 말한다. 전 세계 대학의 컴퓨터 과학 순위인 'CSRankings 2024'가 최근 발표됐다. AI(인공지능) 부문 Top 10 대학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칭화대 2위 베이징대 3위 상하이자오퉁대 4위 카네기멜론대 5위 저장대 6위 한국과학기술원(KAIST) 7위 중국인민대 8위 난징대 9위 싱가포르국립대 10위 푸단대, 하얼빈공업대 AI 부문 세계 1위는 중국 칭화대가 차지했다. 이어 베이징대, 상하이자오퉁대, 카네기멜론대, 저장대 등이 2~5위에 올랐다.
중국 안후이성 양자컴퓨팅공학연구센터와 안후이성 양자컴퓨팅칩핵심연구소가 3세대 독립형 초전도 양자컴퓨터 '번위안우쿵(本源悟空)'을 지난 6일 온라인에 공개했다. 중국이 첨단 기술의 총아로 여겨지는 분야에서 또 한번의 실력 발휘를 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AI(인공지능)과 양자컴퓨터, 생명공학 3분야는 글로벌 미래를 좌우하는 신기술 영역으로 꼽히고 있다. 이 분야에서 나오는 신기술들이 인류의 생활 전반을 바꿀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전망이다. 실제 AI는 컴퓨터 활용과 관련, 인류의 지적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자컴퓨터는 미래의 컴퓨터를 현존하는 슈퍼컴퓨터보다 1억 배 빠른 연산이 가능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를 위한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양자컴퓨터가 나오면 컴퓨터가 개발돼 인류의 생활을 바꿨듯 현존 인류의 모든 것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안후이성 양자컴퓨팅공학연구센터에 따르면 '번위안위쿵'은 현재 중국에서 가장 발전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초전도 양자컴퓨터로 72비트 독립형 초전도 양자칩 '우쿵칩(悟空芯)'이 장착되어 있다. 초전도 양자컴퓨터는 초전도 회로 양자칩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로 국제적으로는 미국의
제53회 중국국제가구박람회(China International Furniture Fair, CIFF 2024)가 오는 3월 광저우에서 2단계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다. CIFF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3월 18~21일에는 1단계로 가정용 가구 전시회가 열리고 3월 28~31일에는 ‘사무실&상업공간(Office and Commercial Space)’와 ‘CIFM/interzum 광저우’ 전시 행사가 진행된다. ‘Office and Commercial Space’는 최신 사무실 가구 디자인의 트렌드를 설정하고 최첨단 솔루션을 보여주는 전시로 잘 알려져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약 1100개 기업이 참가해 시스템 오피스, 스마트 오피스, 퍼블릭 상업 공간, 의료와 노인 돌봄 공간 등 다양한 주제의 가구를 다룰 예정이다. ‘CIFM/interzum 광저우’에선 중국은 물론 글로벌 유명 가구 브랜드들이 참여해 혁신적인 기술과 획기적인 제품을 소개한다. '미래와의 연결(Linking to the Future)'을 주제로 열리는 올해 전시에는 가구 생산 장비, 가구 하드웨어, 원자재 등이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가정용 가구의 소재와 디자인 미학에 영감을 불어넣어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