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지난 3일부터 일요일인 5일까지 2박3일동안 칭밍지에 ( 清明节 ,청명절) 연휴를 지냈다. 청명절을 쇠는 풍습의 습속은 중국이나 한국이나 같다고 볼 수 있으며 기 시기는 음력 2월 24일이다. 이 시기는 양력으로 4월 5일 전후이다. 4월 5일 한국은 식목일로 정해 나무를 심는 날로 기념하기도 한다. 나무를 심는 다는 것은 식물이 잘 자라나는 시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 곡식을 심는 밭갈이를 시작한다는 뜻으로 동양의 오랜 24절기로 오랫동안 역사가 매우 깊은 날이기도 하다. 한국은 휴일과 무관하지만, 중국은 청명절 전후로 3일간의 국가 지정 공휴일이다. 코로나19 판데믹의 영향으로 , 올해 중국의 매체들은 코로나19을 극복한 중국에서는 이 3일 휴일동안 1억 4천만명의 여행객들이 소비를 촉진해,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원래 중국이나 한국이나 청명절은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는 자연의 섭리를 기리는 것으로, 곡식을 심어서 새로운 연명을 기약하기도 하지만, 역시 자연의 섭리에 의해 돌아가신 선친들의 무덤을 살피고 후손을 번영케 해준 선조들의 제사를 지내는 명절의 의미가 더 컸다. 오늘의 내가 있음을 가능하게 해주시고 자연으로 돌아가신 부모
겨울철 농사를 쉬고 있는 농경지의 표토( 논 윗부분의 흙)를 무단으로 훔쳐가려는 일당이 환경보존법위반 혐의로 체포되는 일이 벌어졌다고 신화통신이 지난 1일 주요기사로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비옥하기로 이름난 북부 헤이롱지앙성의 농토의 표토층을 무단으로 채굴해 32만위안에 팔려했던 일당들이 관할경찰에 체포된 사건을 전하면서, 중국 각시의 시내 녹화사업과 원예업자들이 화초와 수목이 잘 자랄 수 있는 흙으로 사용하기 위해, 헤이롱지앙성 관내의 농토의 표토층이 겨울철 농한기동안에 불법으로 파헤져지는 환경범죄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화통신이 보도한 이번 사건은 북부 헤이롱지앙성 우창시 샤허지쩐 푸타이춘 ( 黑龙江省 五常市 沙河子镇 福太村) 에서 발생했다. 이 지역은 부자촌이라는 마을의 이름에서 나타나듯이 농토가 매우 비옥해 단위면적당 쌀의 소출량이 많고 품질이 좋아 전국적으로 이름난 쌀을 생산하는 지역이다. 그 비결은, 이 지역 농토의 표토층이 검은 석탄 (黑炭) 혹은 풀석탄 (草炭土) 으로 불릴 정도로 검은 색을 띠면서 한냉한 기후에서 석회화작용이 잘 진행돼 무기기질과 영향이 풍부한 성분을 가진 부드러운 흙으로 이뤄졌기 때문인데, 보통 검은 색의 흑토( 黑土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진행하고 있는 중국의 신종코로나19백신 접종인구가 지난주말인 3일까지 모두 1억 3천만명을 넘었다고 인민일보와 신화통신등이 보도했다. 신화통신등 중국매체들은 자국의 5개 제약회사가 개발한 자국산 백신은 각각의 특성과 장점에 따라 관련당국이 대상자의 나이와 건강상태에서 따라 판단해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매체들은 지금까지 보고된 자국산 백신은 불활성화방식의 백신의 종류는 , 아데노바이러스활용백신 그리고 단백질재조합백신등 미국등 전세계가 코로나19예방을 위해 개발한 모든 종류의 백신 3종류를 모두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단백질 재조합백신은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가 안훼이성의 즈페이롱커마 바이오제약과 공동개발한 백신으로, 지난 3월 에 당국에 의해 긴급사용이 승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 가장 먼저개발해 지난해부터 일선 의료진과 방역관련인원들에게 대해 비공식접종을 시작했던 불활성화백신은, 이미 잘 알려진대로 중국최대의 국영제약회사인 시노팜의 두 자회사인 베이징바이오 연구소와 우한바이오연구소에서 생산한 것과 베이징커싱등 3군데에서 생산한 것이다. 그리고 아데노바이러스 운반방식의 백신은, 인민해방군과 텐진시의 칸시노어 제약
지난 한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집중했던 중국이 올해 초부터는 난데없이 늘어난 붉은 불개미로 방제를 위해 전력을 기울여야 하는 사명을 하다 더 짊어지게 됐다. 중국 신화통신와 인민일보등 매체들은, 중국당국이 중국국무부의 9개 부처가 합동으로 붉은불개미 방제를 위해 합동방제단을 구성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합동방제를 위해 비상조치에 들어간 주무부처들은, 농업농촌부, 주택도시농촌건설부, 교통운수부, 수리부, 국가위생건강위원회, 해관총서, 국가임초국, 국가철도국, 국가우체국을 망라한 국무원산하의 9개 부처로, 이들은 공동명의로 <붉은불개미 차단방지사업 강화에 관한 지침>을 공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매체들은 농촌농업구가 조사한 바를 보도하면서 , 올해 3월 초부터 외래침입종인 붉은불개미가 12개 성에 걸쳐 435개의 시급 현급 지역의 전역의 생활구역과 농작물에 전파돼, 어린이와 노약자에게 쇼크사를 일으키거나 농작물을 고사시키는등의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들은 붉은불개미로 인한 피해지역이 5년전에는 3개성의 191개의 시급 현급지역이었으나 , 지난 5년동안 두 배를 넘어 세배까지 육박하고 있어 시습한 방역이 요구된다고
중국-세계보건기구(WHO) 코로나19 공동연구조사팀의 중국 측 전문가팀장인 량완니엔 ( 梁万年)칭화대 교수는 , 세계보건기구에서 파견한 세계적인 석학들과 공동으로 코로나19의 우한 발원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한의 화난수산시장의 동물 샘플들에 대한 조사에서 양성판정이 나오지 않았었다고 밝혔다. 이어 량 교수는 중국측 조사팀장으로서 그동안 덴마아크 박사등 WHO에서 파견한 세계적인 전염병 전문가들과 함께 현장조사를 진행하고 토론한 뒤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참여했는데, 지난 달 31일 오후에 생방송으로 진행된 국내외 기자회견에서, " 그동안의 현장조사와 검사를 통해, 모든 조사위원들이 우한의 화난시장을 코로나19의 첫 발생지라고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만장일치로 결의했다 " 고 말했다. 량완니엔 교수는 이 날 회견에서 그동안 세계 각국에서 조사단으로 참가한 전문가들과의 현장조사와 토론과정을 약 2시간에 걸친 기자회견에서 비교적 자세히 소개하면서, 코로나19의 시원에 대한 조사는 이전 우한에 대한 조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단계로는 세계 각국에 대한 조사가 이어 져야 한다는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고 부연했다. 리 교수는 따라서, 세계보건기구의 이번
스웨덴 의류 브랜드 H&M이 중국의 불매운동에 “중국 고객들의 신뢰를 회복하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H&M은 최근 면직물을 주로 공급받았던 신장 지역의 위구르 강제노동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해당 지역의 면을 구매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후 거센 후폭풍에 직면하자, " 중국 고객의 신뢰를 다시 받고 싶다" 는 입장문을 발표했지만, 섣부른 행동에 대한 댓가가 계속될 것같은 분위기이다. 뉴욕타임즈는 지난달 31일 H&M이 중국 불매운동에 대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어 “최근 며칠 동안 H&M과 나이키, 버버리 등 서구 의류 브랜드들이 신장 관련 보도에 우려를 표했다”며 “중국 정부를 중심으로 해당 기업들에 대한 불매운동이 일어 현지 유명 파트너들의 계약 해지, 영업 중단, 전자상거래 플랫폼 퇴출 등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자라 등 일부 브랜드는 웹사이트에 올린 신장 관련 성명서를 삭제했다. H&M 역시 1분기 실적 발표에 중국 소비자를 고려한 것으로 보이는 입장을 밝혔다. H&M은 신장 지역이나 면, 강제노동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중국 등지에서 책임 있는 구매자가 되고 싶다”며
중국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시가 중국 기관 최초로 성희롱 예방지침을 발표했다고 홍콩 명보가 26일 보도했다. 선전 여성연합회와 공안국 등 9개 분야가 공동 발행한 해당 지침은 중국 기관에서 발표한 최초의 성희롱 예방지침이다. 해당 지침은 성희롱의 세 가지 요소와 함께 음성·문자·이미지·행동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했다. 성희롱의 세 가지 요소로는 ▲문제의 행동이 본질적으로 성적이고 ▲피해자의 뜻에 반하며 ▲피해자의 인격권을 침해해 나쁜 감정을 유발하거나 적대적이고 비우호적인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꼽았다. 다만 쌍방의 자발적인 접촉과 데이트, 우발적인 신체접촉, 사회·문화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언어나 행동은 성희롱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해당 지침은 기관, 기업, 학교 등에 성희롱 예방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고 성희롱 예방 교육을 시행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법에 따라 성희롱 신고를 접수하고 처리하는 책임이 공안부에 있다고 규정했다. [황혜선/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
알리바바(阿里巴巴), 텐센트(騰迅·텅쉰)를 비롯한 중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중국 당국이 이번에는 이들 거대 기술기업이 수집한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합작 기업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2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거대 기술기업들이 수억 명의 소비자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관리·감독하기 위해 이들 거대 기술기업이 참여하는 국가 후원 합작 기업을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주도로 추진 중인 합작 기업 설립 방안은 인터넷 부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중국 당국의 시도 가운데 중요한 조치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내다봤다. 소식통은 국가가 후원하는 합작 기업에는 중국의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들과 금융 결제 기업들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거대 기술기업은 합작 기업에 주주 자격으로 참여하되, 합작 기업의 경영진은 중국 당국의 승인을 받은 사람이 맡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당국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와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의 운영자인 텐센트를 비롯해 바이트댄스(ByteDanceㆍ字節跳動), 메이
중국에서 최근 확인된 코로나19 확진자가 이미 지난달 백신을 맞았던 것으로 드러나자 백신의 효과를 놓고 의구심이 일고 있다. 21일 중국 건강시보 등에 따르면 산시(陝西)성 시안(西安)의 의료 종사자인 류모씨는 지난 18일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 판정을 받았다. 중국에서 1개월 만에 발생한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자였다. 류씨는 코로나19 해외유입 환자의 핵산검사 샘플을 다루는 실험실에서 일하면서 바이러스 밀도가 높은 환경에 지속해서 노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지난 1월 말과 2월 초 2차례에 걸쳐 중국산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다. 그의 감염 사실은 중국 내에서 큰 관심을 모았는데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에서 '#시안의 확진자는 백신 접종 후에 감염됐다#'는 해시태그는 1억9천만 건의 조회 수를 올렸다. 그러나 중국의 전문가들은 바이러스 감염을 100% 예방하는 백신은 없으며, 이번 감염 사례 1건 때문에 백신의 유효성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상하이의 백신 전문가 타오리나는 접종 이후 절대적인 안전을 보장하는 백신은 세상에 없다고 말했다. 쩡광(曾光)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 유행병학 수석과학자는 중국 안팎에서 수천만명이 중국
중국 쓰촨성의 고대 유적지에서 희귀한 황금 가면이 출토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21일 홍콩01, 신경보(新京報) 등 매체에 따르면 중국 문화재 당국은 전날 쓰촨성 청두(成都)에서 브리핑을 열고 싼싱(三星)유적지의 '제사갱'(祭祀坑) 6곳에서 황금 가면, 청동기, 옥기, 상아 장식품 등 유물 500여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현지 언론은 특히 3천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가면의 발견 사실에 주목했다. 이번에 발견된 황금 가면은 얼굴 한쪽 부분 일부가 사라졌지만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발견됐다. 황금 가면의 크기는 폭과 높이가 각각 23㎝, 28㎝이며 무게는 280g가량이다. 금 순도는 약 84%로 조사됐다. 발굴팀은 이 황금 가면이 온전했다면 전체 무게가 약 500g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쓰촨성 광한(廣漢)시에 있는 싼싱유적지는 신석기 시대부터 고대 은나라 시대까지 약 2천년에 걸친 시대의 흔적을 보전한 곳으로 1934년 첫 발굴이 시작됐다. [황혜선/연합뉴스/한중21 제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