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로 미국 정부의 규제 표적 가운데 한 곳인 SMIC(中芯國際ㆍ중신궈지)가 중국의 '기술 허브'인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시에 새로운 반도체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 18일 로이터 통신과 중국의 재화망(財華網),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SMIC는 전날 선전시 정부와 손잡고 선전시에 새로운 반도체 웨이퍼 가공(wafer fabrication) 공장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SMIC는 발표문을 통해 선전의 새 공장이 회로 선폭 28나노(㎚)와 그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면서 한 달에 12인치 웨이퍼 4만 개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전 새 공장은 내년에 생산을 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SMIC는 덧붙였다. SMIC와 선전시가 주도하는 펀드는 새 공장 건설을 위해 23억5천만달러(약 2조6천400억원)를 공동으로 출자할 방침이다. 지분은 SMIC와 선전시 정부 주도의 펀드가 각각 55%와 23%를 갖기로 했다. SMIC의 선전 반도체 공장 신설 발표는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사태와 미국과 중국 간 '기술전쟁'이 지속되면서 중국 정부가 반도체 '자급자족'을
"마윈이 사라졌다." 중국인은 물론 세계 경제계를 놀라게 했던 중국발 뉴스였다. 실제 한동안 마윈은 공식 활동무대에서 사라졌다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과의 갈등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한다. 실제 중국에서는 마윈은 공산당이 키운 기업이라는 설이 많다. 마윈 스스로가 공산당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갈등은 그런 마윈이 서구식 정부 혁신을 언급하고 나선 탓으로 전해진다. 이렇게 중국 정부와 알리바바의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알리바바의 인터넷 브라우저가 중국 내 여러 앱스토어에서 삭제됐다.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각) CNBC 등 외신은 화웨이와 샤오미가 운영 중인 안드로이드 앱스토어 등에서 알리바바의 ‘UC브라우저’가 삭제되거나 다운로드 기능이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알리바바 브라우저 삭제 조치는 화웨이와 샤오미 스마트폰 이용자들에게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CNBC 측은 “화웨이·샤오미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통화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며 “중국의 한 삼성 스마트폰 이용자는 삼성 앱스토어에서 여전히 이 브라우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UC브라우저는 애플 앱스토어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CNBC는 이전부터 이어
중국 암시장에서 약재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산모의 태반을 거래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16일 펑파이와 중국중앙(CC)TV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들 매체는 소비자의 날인 15일 태반 거래 및 성장촉진제를 투여한 양고기 등 여러 문제를 고발 보도했다. 펑파이는 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중개상들이 병원이나 의료폐기물 처리시설 등에서 버려진 태반을 개당 80위안(약 1만4천 원) 정도에 구매해 약재 등으로 가공한 뒤 상점에 수백 위안을 받고 팔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2005년 태반의 상업 거래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명시적인 법령이 아직 없으며, 안후이·장쑤·허난성 등에서 태반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판매상은 "전날 분만한 산모의 신선한 태반이 20개 있으며, 개당 150위안(약 2만6천 원)이다. 매달 500개를 공급할 수 있다"고 펑파이에 밝혔다. 태반에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나 B형간염, 매독 등 각종 균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 가공업자는 "말린 태반이 진짜임을 보증할 수 있을 뿐, 구체적으로 태반에 무엇이 함유돼있는지는 보증할 수 없다"고 답했다.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알리바바 계열의
중국 당국이 전자상거래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여가고 있다. 1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의 시장감독 기관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책임 목록을 만드는 등 전자상거래 관련 새로운 규칙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SAMR 관계자는 "온라인 쇼핑 시장을 정화하고 건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올해 일련의 행동을 통해 더 강력한 규제책을 채택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AMR은 전자상거래와 관련이 있는 플랫폼 회사에 대한 책임을 명확하게 규제하는 한편 온라인 거래를 표준화하고 공정한 경쟁을 유지하며, 소비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규칙을 시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SAMR은 전국적으로 전자상거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SAMR은 '광군제'(光棍節, 싱글데이)를 비롯한 거대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주최하는 이벤트 행사에서 위법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규제를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군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阿里巴巴) 그룹이 매년 11월 11일 개최하는 대규모 쇼핑 이벤트다. 중국 제2위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징둥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 중인 중형 SUV가 지난 2월 중국 전기 판매 순위 세 번째에 올랐다.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일(현지시각) CNBC는 중국승용차협회(CPCA)의 발표 자료를 인용해 테슬라가 중국에서 생산 중인 ‘모델Y’의 판매 대수가 올해 2월 4630대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팔린 전기차 중 세 번째에 달하는 양으로, 납품 3개월 만에 이뤄낸 성과다. CNBC는 모델Y의 판매실적을 두고 “일주일에 달하는 설 연휴가 있었던 만큼 올해 2월 자동차 판매는 전반적으로 감소했다”며 “이 같은 상황에도 인기가 있었다는 뜻”이라고 평했다. 실제로 CPCA에 따르면 2월 전국 승용차 판매량은 1월에 비해 45.5% 감소했다.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엑스펑과 리오토 역시 2월 인도량이 각각 2000대를 조금 넘는 데 그쳤다. 1분기 전망치 역시 평소보다 낮게 책정했다. 모델Y의 성과는 가격 경쟁력과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의 미흡한 경쟁력 때으로 보인다. CNBC는 “중국 매체들이 사전에 발표한 가격보다 30% 저렴한 가격에 판매됐다”며 이어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스타트업들은 여전히 큰 자동차 회사들보다 뒤처졌다”고 했다. 하지만 CPCA가 발표
중국전통의 춘제 명절 연휴동안 , 중국 극장가 박스오피스가,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2019년 보다32% 가 증가해, 무려 78억 2200만위안 , 한화로 환산해 약 1조 2천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국가영화국이 어제 18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서 2월11일~17일 전국 영화 박스오피스는 역대 최고 기록인 2019년 59억500만 위안보다 32.47% 증가한 78억2200억 위안으로 알려졌다. 이는 또 세계 단일 시장에서의 일일 박스오피스와, 세계 단일 시장 주말 박스오피스 등 극장수입관련 한 모든 세계 기록을 새로 세운 것으로 신화통신은 전했다. 올해 춘제 연휴 극장가는 2019년(1억3200만명) 대비 21% 늘어난 1억6천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17일 기준 연간 총 박스오피스는 115억8800만 위안, 관객 수는 2억6200만 명, 국산 영화 박스오피스는 112억26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입장수입과도 연동되면서 관객들이 완성도가 높은 영화로 선정한 영화로는 ‘안녕, 리환잉 , Hi, Mom’과 ‘당인가탐안 3편’, ‘인조흉용’ 등 세 영화가 선정돼, 올해 춘제 연휴 영화 관객 만족도 1위~3위를 차지했다. 진실한 가족애를 그린 ‘니
춘절(春節·음력설) 연휴 기간 베이징의 주요 소매업체, 음식업체, 전자상거래 플랫폼 100곳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3.1% 성장했다. 베이징시 상무국에 따르면 소매업체와 음식업체의 오프라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5% 늘었다. 올해 춘절 기간 베이징에 머무는 인구가 급증했기 때문에 매출액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2일 시작된 춘절은 가족과 상봉하는 중국의 중요한 명절이다. 하지만 중국의 많은 지역에서 올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거주민과 이주노동자에게 이동을 자제하고 현지에서 명절을 보내 것을 요청했다. 또 베이징시 상무국은 이번 연휴 기간 동안 베이징 내 상업중심지 22곳의 일일 고객 흐름(Customer Flow)이 약 90% 증가했다고 밝혔다.
최근 중국 백주(白酒) 기업인 구이저우시의 마오타이 그룹이, 생산과 유통의 선진화와 브랜드 이미지제고를 위해, 8억 위안(한화 약 1,300억원 ) 규모의 신규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마오타이는 1만8천400t의 백주를 보관할 수 있는 창고 15개 동을 건설하는 데 약 4억6천만 위안(791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계열사 공장의 오염물질 분류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5천962만 위안(102억원)을 투자하고, '스마트 마오타이' 1기의 마오타이 클라우드, 보관창고 소방∙안전 일체화 등 프로젝트에 2억2천400만 위안(385억원)을 투자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신화통신등 중국매체들은 15일 이사회가 164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새로운 사무총장으로 선출한 나이지리아 재무장관출신인 오콘조-이웨알라 신임총장의 첫 기자회견인터뷰를 비중있게 보도하면서, 향후 세계무대에서의 무역질서의 재편가능성에 대해 큰 관심을 표명했다. 신화통신은 특히 신임 총장이 , 세계 무역질서에서 세계 여러나라들이 무역을 지속하면서 발생한 신뢰의 부족 문제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한 부분을 강조해 보도했다. 신화통신등은 WTO 신임총장이 , 세계 무역의 2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간의 무역전쟁을 염두 둔 , 세계무역현장에서는 불신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부분을 부각시켜 보도했다. 또 신화통신은, 세계무역기구(WTO) 신임 사무총장에 오른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총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으로 인한 세계경제의 충격을 신속하게 극복하겠다고 밝힌 부분도 중점보도했다. 이 문제는 중국이 가장 먼저 코로나백신의 자국내 접종을 시작했고 세계 각국으로의 수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나온 언급으로서 중국의 향후 무역수지 상황과 직결되는 영역이다. 신화통신은 이와 관련해, 신임총장이 " 백신·의료 장비의 '자유로
중국에서 중국국영제약회사인 시노팜의 백신인 것처럼 식염수로 만든 가짜 백신이 대량으로 생산해 유통시켜온 약 80여명이 검거되면서 가짜 코로나19백신 경계령이 발동됐다. 신화통신은 중국공안당국이 이달 초, 수도 베이징과 산동성 일대에서 식염수로 만든 가짜 백신약 3천여 병을 적발하면서, 최근 이 가짜 백신을 생산해온 80여명의 범죄인들을 일망타진했다고 밝혔다. 공안당국에 따르면 이번에 검거된 가짜백신 생산자들은, 중국전역 21곳의 숙박업소와 창고에서 정규백신과 유사하게 생긴 작은 병들을 전문적으로 수거해 세척한 다음, 정규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중국 국영 제약회사인 시노팜의 백신 라벨과 똑같이 인쇄한 종이를 붙이고, 병안에 생리 식염수를 넣고 봉한 뒤, 유통시켜온 것으로 알려졌다. 공안당국은 , 이 들 가짜 백신생산범들은 가짜로 만든 시노팜 백신을 주로 해외에 수출하려는 일당들에게 비싼 값에 넘겼다고 밝혔는데, 이 일당들이 이 가짜백신들을 해외 어느나라에 수출했는지는 보도되지 않았다. 신화통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공안당국은 이번에 검거된 가짜백신 제조범들이 약 6만 회 접종분량의 가짜백신을 수출업자에게 넘기면서 취득한 불법이익이 무려 천 800만 위안 (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