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굴기가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중국 토종의 전기차 스타트업체인 패러데이 퓨처가 미국 증시에 상장했다.
패러데이 퓨처 측은 일부 차종이 한국 협력업체에서 위탁 생산된다고 밝혔다.
중국 전기차 기술은 세계적 수준이다. 중국은 내연기관 차량 개발을 포기하고 전기차 등 신 차종 개발에 주력해왔다.
23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과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패러데이 퓨처는 22일(현지시간)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미국 나스닥에 우회 상장했다.
22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5억 달러(5조1천700억원)이다. 패러데이 퓨처는 이번 상장을 통해 약 10억 달러(약 1조1천5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패러데이 퓨처는 중국 사업가 자웨팅(賈躍亭)이 설립했다. '중국판 테슬라'로 꼽히고 있다.
창업 후 쏟아부은 투자금만 20억 달러(약 2조3천억원)에 달한다. 이제 겨우 양산 단계에 도달을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당초 2019년 가격이 20만 달러 이상인 고급 차종 FF 91을 생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자금난으로 생산 일정이 계속 지연됐다.
현재 중국 토종 전기차 제조사로는 웨이라이(니오), 샤오펑(엑스펑), 리샹(리오토) 3사가 유명하다.
패러데이 퓨처는 이번 상장으로 확보된 자금을 이용해 FF 91, FF 81 등 주력 차종 생산 시점을 앞당기려 하고 있다. 이미 패러데이 퓨처는 상장과 동시 12개월 내 인도를 조건으로 예약 판매에 나선 상황이다.
회사 측은 플래그십 제품인 FF 91은 본사가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 핸퍼드 공장에서 제작하되 가격이 7만 달러에서 시작할 크로스오버 차량인 FF 81은 한국 협력사인 엠에스오토텍에 맡겨 생산할 계획이다.
FF 91은 벤츠 마이바흐나 롤스로이스 같은 최고급 차종과, FF 81은 테슬라의 고급 제품인 모델S와 모델X와 각각 경쟁하게 될 전망이다.
한국 생산량을 연간 27만대까지 올리는 방안 패러데이 퓨처 측은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패러데이 퓨처 생산 차량에는 LG 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들어간다고 패러데이 퓨처 측은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