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광둥 선전시, 자율주행차 개발 중심지로 급부상

 

중국 광둥성 선전시가 자율주행차 개발의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선전은 중국 '개혁ㆍ개방 1번지'였다. 초근엔 '첨단기술의 허브'로 자리잡았다. 이제 자율주행차의 천국으로 새롭게 변신하고 있는 것이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선전시에는 자율주행차 관련 스타트 업이 800개에 달하고 '로보택시', 즉 자율주행 택시가 운행되는 도시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선전시 정부의 행정적 지원 덕이다. 

시는 자율주행차 관련 법규를 준비하는 등 자율주행차 운행 여건 조성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에 중국 각지의 자율주행관련 기업들이 선전으로 몰려드는 것이다.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인 '딥루트닷에이아이(딥루트ㆍDeepRoute.aiㆍ元戎啓行)' 역시 마찬가지다. 이 회사는 지난 19일 선전시민들을 대상으로 로보택시 운행 서비스를 처음으로 시작했다.

처음 서비스는 총 20대의 로보택시가 동원됐다. 선전시 업무중심지인 푸톈(福田)구에서는 이들 로봇 택시를 실제 타고 이동이 가능하다. 

택시 안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안전 요원이 타고 있다. 

이용자는 성인만 가능하다. 사전예약 형식으로 운영된다. 예약을 한 고객에게는 초대코드가 전해지고 이를 로봇택시가 인식해 승객을 태우게 된다. 

현재 이 서비스는 무료다. 딥루트 로보택시는 푸톈구 내 100곳의 지정된 승ㆍ하차 지점을 운행한다. 이동거리가 총 124마일(약 200km)에 달한다.

딥루트는 시 당국인 인정한 첫 로봇택시 상용화 회사가 된 것이다. 점차 운행 대수를 늘려 더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선전시의 이 같은 변신은 산업 IT고도화 '3신'을 추진하는 중국 중앙 정부의 지원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중국 중앙 정부는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인 선전시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바이오기술, 무인기(드론), 자율주행차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의 법률을 만들 자율권을 행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외국 인재 유치를 위해 비자 발급 절차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에 법률회사인 '킹 앤 우드 몰레슨스'는 지난 4월 보고서를 통해 "선전시는 자율주행차의 상업화가 실현되는 중국 최초의 도시가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실제 중국의 기업정보 회사인 '톈옌차(Tianyancha)'에 따르면 선전에는 중국의 자율주행차 관련 기업 4천 개 가운데 약 20%인 800개가 몰려있다. 

선전에는 이미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華爲)와 중국 최대 IT(정보통신) 기업인 텐센트(騰迅·텅쉰) 등이 둥지를 틀고 있다. 대형 통신장비업체인 ZTE(중싱),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인 DJI(다장),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 등도 선전에 본거지를 두고 있다. 

선전시의 경제 규모는 2019년 말 기준 지역총생산(GDP)이 3천900억 달러(약 465조 원)에 달한다. 이는 광둥성 성도인 광저우와 주하이의 GDP를 합친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