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북한 6월 대중국 교역액 1천400만 달러 기록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북중 교역액 다시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대(對)중국 북한 수입액이 1천만달러대를 회복했다. 

18일 중국 세관당국인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달 북한의 중국산 수입 규모는 1천231만8천달러(약 140억5천만원)를 기록했다.

올 1~2월 북한의 대중국 수입은 사실상 교역 중단 수준인 2만9천달러(약 3천만원)와 3천달러(약 342만원)에 그쳤었다. 이어 3월 1천297만8천달러(약 148억원), 4월 2천875만1천달러(약 328억원)까지 늘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 5월에 다시 271만4천달러(약 30억9천만원)로 급감했었다. 

현재 북중 교역은 육로가 막혀 주로 해상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 확산을 두려워한 북한은 여전히 중국과 육로 엄격히 차단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북한은 모든 국경을 봉쇄하고 무역도 중단했었다. 반입이 끊기면서 국내 물자 부족보다 코로나 반입으로 인한 감염 확산이 더 우려됐기 때문이다. 

북한의 의료체계는 세계 최저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변변한 병원 하나 없는 게 북한의 현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북한은 소득 수준 자체가 세계 최저 수준의 최빈국이다. 

먹고 살기도 바쁜데 병치레 신경쓸 여유가 없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국의 코로나 사정이 나아지면서 북한도 어쩔 수 없이 국경의 문을 열고 있는 정황이 전해지고 있다. 

지난달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181만8천달러(약 20억7천만원)를 기록했다.

수출입을 합한 지난달 북중 교역 총액은 1천413만6천달러(약 161억2천만원)였다. 

코로나 19 확산이전인 2019년 6월 양국 교역총액 2억2천663만9천달러(약 2천585억9천만원)이었다. 지난달 북중 교역액은 당시와 비교해 약 6%에 불과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