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2%’ 지난 1월 중국의 비제조업 업무 활동지수다. 전월보다 2.0%p 하락했지만 여전히 기준점을 웃돌았다. 비제조업의 종합 PMI 생산지수는 50.1%를 기록했다. 중국 당국이 중국 경제가 아직 안정적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근거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조사 결과, 제조업 생산·경영활동 전망지수와 비제조업 업무활동 전망지수는 각각 55.3%와 56.7%를 기록했다. 중국 경제가 아직 침체가 아니라는 중국 당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수치다. 주요 원자재 구매 가격지수와 출고 가격지수는 각각 49.5%와 47.4%를 기록해 전월 대비 각각 1.3%p, 0.7%p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석탄 및 기타 연료 가공업의 두 가격 지수가 큰 폭으로 반등하며 경기 확장 구간으로 진입했다. 또한 섬유·의류·액세서리, 제지·인쇄 및 문교·체육·오락용품 등의 업종에서는 두 가격 지수가 지속적으로 확장 구간에 머물며 관련 업종의 구매·판매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생산·경영활동 전망지수는 55.3%로 전월 대비 2.0%p 상승해 높은 경기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대부분의 제조업 기업이 춘제 이후 시장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업
‘2,163.9만 종’ 지난 2024년 중국에서 만들어진 소비재 품종 종목 수다. 역대 처음으로 2000만 건이 넘어섰다. 세계인이 쓰고 있는 거의 대부분 소비제품이 중국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세계의 공장’ 중국의 위용을 보여준다. 반면, 중국 소비재 제조업에 글로벌 시장이 종속되고 있다는 경고이기도 한다. 중국신문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물품코딩센터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4년 중국 소비재 연간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 전역에서 신규 등록된 소비재 품목은 2,163.9만 종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14.1% 증가한 수치다. 관련 기업 수는 32.3만 개에 달했다. 특히, 소비재 연간 신규 등록 총량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2,000만 종을 넘어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는 국가의 다양한 소비 촉진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주민 소비 잠재력이 방출되고, 소비 시장의 활력이 크게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2월 31일 기준 전국 소비재 총량은 2억 1,110.6만 종에 달했다. 전년 대비 11.4% 증가했다. 이는 식음료
‘48.7%’ 지난 2024년 한 해 중국 청두시의 산업투자 증가폭이다. 청두는 충칭, 시안시와 함께 중국 서부발전을 이끄는 3대 마차 중 하나다. 청두의 산업 투자 증가폭은 중국 당국이 서부 지역 발전에 어느 정도 힘을 기울이는지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2024년 청두 경제 ‘연간 보고서’가 최근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두시의 고정자산 투자는 7.3% 증가하여 전국 및 쓰촨성 평균보다 각각 4.1%포인트, 4.9%포인트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산업 투자는 48.7% 증가하여 전체 투자 증가에 대한 기여율이 86.9%에 달했다. 지난 2024년 청두시의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 유효 투자(건축·설비 투자)는 전년 대비 10.1% 증가하며 전체 투자에서 73.4%를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건축·설비 투자는 6.5% 증가했고, 설비 구입 투자는 29.9% 증가했다. 산업 투자는 전년 대비 48.7% 증가해 전체 투자 증가율보다 41.4%포인트 높았다. 또한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연초 11.8%에서 18.1%로 상승했다. 특히 제조업 투자는 55.3% 증가하여
‘3조 417억 위안’ 한화로 약 604조 4,770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소프트웨어 수입액이다. 전년보다 7%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중국이 소프트웨어 산업에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본격적인 ‘IT 굴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IT산업은 몸체라 할 수 있는 반도체와 두뇌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두 축이다. 반도체 내수화에 힘쓰면서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에 중국이 온 힘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 2024년 한해 소프트웨어 제품 수입은 3조 417억 위안(약 604조 4,77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했다. 업계 전체 수입의 22.2%를 차지했다. 그중 산업 소프트웨어 제품 수입은 2,940억 위안(약 58조 4,2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했고, 기초 소프트웨어 제품 수입은 1,919억 위안(약 38조 1,3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중국 공신부는 “2024년 소프트웨어 및 정보 기술 서비스업 운영 상황이 양호했으며, 소프트웨어 사업 수입이 안정적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규모가 커지면서 총이익 증가율은 둔화됐다. 소프트웨어 사업 수출은
‘7조 5,238억 위안’ 한화로 약 1,495조 2,047억 원 가량이다. 중국의 지난 2024년 한 해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5% 가까이 늘었다. ‘세계의 공장’이란 이름에 부합하는 수치다. 최근 중국 시장이 커지면서 수입액 역시 증가세다. 다만 지난해 중국 소비가 부진하면서 수입액은 찔끔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 수출입 통계를 공개했다. 중국 해관은 통관액 기준 수출입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중국의 서비스 무역액은 다시 한 번 역대 최대치 기록을 갱신했다. 연간 서비스 무역 총수출입액은 7조 5,238억 위안이었다. 전년 대비 14.4% 증가했다. 이 중 수출은 3조 1,755억 위안(약 631조 671억 원)으로 18.2% 늘었고 수입은 4조 3,482억 위안(약 864조 1,177억 원)으로 11.8% 증가했다. 서비스 무역 적자는 1조 1,726억 위안(약 233조 3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4억 위안(약 6조 2,401억 원) 감소했다. 지난해 중국 무역은 지식집약형 서비스 거래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특징을 보
‘14조 위안’ 한화로 약 2,786조 9,800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한 해 중국의 규모 이상 문화기업의 영업수익 총액이다. 전년보다 6% 가량 늘어난 수치다. 중국의 문화산업이 빠르게 그 덩치를 키우고 있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문화산업 현황을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했다. 공개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전국 규모 이상의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이하 "규모 이상의 문화 기업")의 매출은 14조 1,510억 위안(약 2,817조 3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46억 위안(약 160조 1,717억 원) 증가하며 6.0% 성장했다. 산업 유형별로 보면, 문화 서비스업은 7조 6,019억 위안(약 1,513조 3,102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7.7% 성장해, 전체 규모 이상의 문화 기업 평균 성장률보다 1.7%포인트 높았다. 이는 전체 매출에서 53.7%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0.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문화 제조업과 문화 도소매업의 매출은 각각 전년 대비 4.5%와 3.5% 증가했다. 문화 9대 산업은 전면적으로 성장하며, 분야 간의 발전이 더욱 조화로워졌다. 2024년, 문화 9대 산업의
‘1438억 5000만 달러’ 한화로 207조 8,200억 9,500만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중국의 대외 비금융분야 직접 투자총액이다. 전년대비 10% 이상 급증한 수치다.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진척에 따라 투자액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올해 브릭스 남미국을 연결하는 글로벌 공급망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의 대외 비금융 직접투자액은 올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대외 투자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의 대외 비금융 분야 직접투자는 1438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대외 투자가 안정적으로 성장했다”고 평했다. 지난 2024년 중국의 아세안 지역에 대한 투자는 전년 대비 12.6% 증가했다. 주요 투자 대상국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등이었다. 산업별로는 주로 임대 및 비즈니스 서비스업, 제조업, 도소매업으로의 투자가 이루어졌다. 대외 건설 계약 사업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었다. 2024년 중국의 대외 건설 계약 사업은 1659억 7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대비 3.1% 늘었다. 신규
‘7,919만 톤’ 지난 2024년 중국의 비철금속 산업의 생산량이다. 부가가치 성장률은 9%에 달했다. 생산량으로 역대 최고치다.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에서 가장 중요한 원자재 공급국 가운데 하나다. 중국은 원자재를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원자재 공급과 설계와 제조까지 아우르는 원체인 공급망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이를 통해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적극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신문망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 2024년 중국 규모 이상의 비철금속 산업의 부가가치 성장률은 8.9%를 기록했다. 중국 매체들은 주요 제품 생산량과 투자 모두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총이익 증가율도 뚜렷하게 상승했다고 전했다. 지난 2024년 10대 비철금속의 생산량은 7,919만 톤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신에너지 금속 부문에서는 공업용 실리콘 생산량이 497만 5,000톤으로 전년 대비 30.4% 증가했다. 정제 코발트 생산량은 18만 톤으로 14% 늘었다. 또 탄산리튬 생산량은 71만 5,000톤으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지난 2024년 비철금속 산업의 고정자산 투자 완료액은 전년 대비 24.7% 늘었다. 이는
‘6,706억 7,000만 위안’ 한화로 약 132조 2,829억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한 해 신규 대출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6.2% 늘어난 수치다. 신화통신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인민은행 베이징시 분행과 국가외환관리국 베이징시 분국이 올 1분기 뉴스 브리핑을 통해 이 같은 여신 현황을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연간 신규 위안화 대출은 6,706억 7,000만 위안, 전년보다 6.2%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신용 대출 총량이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다”며 “구조적으로도 합리적이어서 수도 경제의 고품질 발전을 효과적으로 지원한 것”이라고 평했다. 대출 주체를 기준으로 보면, 실물 경제가 금융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자금을 지속적으로 확보했다. 12월 말 기준, 기업(기관)의 중장기 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해 연간 4,270억 5,000만 위안이 추가로 대출되며 기업(기관) 대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됐다. 단기 대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전년 동기보다 2.5%p 높아 연간 2,442억 위안(약 48조 1,660억 원)이 새로 대출됐다. 개인의 사업 운영 자금 대출과 주택
‘80조 위안’ 한화로 1경 5,898조 4,0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당국이 2030년까지 추구하는 디지털 경제 규모다. 5년내 이룰 수 있다는 게 중국 당국의 자신감이다. 중국 당국이 본격적인 디지털 경제 육성에 나섰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공업정보화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중국의 연관부처들은 회의를 열고, 디지털경제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보도에 따르면 회의에서 각 부처가 정책 전개를 가속화하고 데이터와 현실의 통합을 더욱 촉진하며 데이터 산업을 발전 확대하고 디지털 경제의 발전 동력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업계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리얼 통합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등으로 오는 2030년까지 중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80조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각 부처에서 지방자치단체에 이르기까지 데이터 통합과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데이터 통합과 제조업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 경제의 발전을 위한 핵심 키워드다. 중국 당국은 최근 산업정보화 전국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는 올 2025년 업무과제 발표에서 정보화와 산업화의 심층적인 통합을 촉진키로 했다. 지정 규모 이상의 공업 기업과 전문화 및 특별 신형 중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