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표 관광명소인 고궁(자금성)의 올해 입장객 수가 10700만명을 넘어서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자금성을 관리하는 고궁박물관에 따르면 자금성의 올해 입장객 수는 지난 13일 1700만명을 돌파했다. 하루 입장 제한 인원수인 8만명을 채운 날도 76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령별 관광객 분포를 보면 30세 이하가 40%로 가장 많았고, 30세 이상∼40세 이하가 24%, 40세 이상∼50세 이하가 15.7%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산둥(山東)이 가장 많았고, 허베이(河北), 허난(河南), 장쑤(江蘇)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의 관광객은 모두 468만명으로 전체 27.5%를 차지했다. 자금성 입장객 수는 2009년 처음으로 1000만명을 기록한 뒤 2012년 1500만명, 2016년 1600만명, 2018년 1700만명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고궁박물관 측은 유적과 시설 보호 차원에서 하루 입장객 수를 8만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중국 남서부 티베트 자치구에서 24일 규모 5.8 지진이 발생했다고 중국지진망센터(CENC)가 밝혔다. CENC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전 3시32분(현지시간)께 티베트 자치구 시가체(日喀則)시 셰퉁먼(謝通門)현 일대를 뒤흔들었다. 진앙은 북위 30.32도, 동경 87.64도이며 진원 깊이가 8km로 상당히 지표면과 가깝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규모 5.6인 지진이 자줴디부(賈珏迪布) 서남서쪽 100km 떨어진 곳을 강타했으며 진앙이 북위 30.498도, 동경 87.712도이고 진원 깊이가 10.0km라고 전했다. 지진 직후 셰퉁먼현 정부는 조사팀을 현장에 급파했으며 아직 인명이나 재산 피해에 관한 정확한 신고와 보고는 들어오지 않았다.다만 일부 가옥과 축사 등의 벽에 금이 가는 피해가 생겼다고 한다. 오지에 있는 마을 등과는 아직 제대로 연락이 되지 않고 있다. 앞서 작년 11월 티베트 자치구 동남부 린즈(林芝)시 미린(米林)현에서 규모 6.9 강진이 일어났다.당시 지진으로 라웨(拉月)촌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정전 사태를 빚고 루랑(魯郞)진에서는 가옥 등에 피해가 속출했다.
사진 출처:대만 연합보 대만에서 한국 남성이 패러글라이딩을 하던 중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8일 빈과일보 등 대만 언론은 전날 오후 한국인 문 모(49) 씨가 대만 남부인 핑둥(屛東) 싼디먼(三地門)의 싸이자(賽嘉) 활공장에서 패러글라이딩을 즐기던 중 갑자기 약 100m 공중에서 떨어져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싸이자 활공장의 운영자인 쑤(蘇) 씨는 문 씨가 이륙한 뒤 7~8분쯤 후에 고공에서 추락하는 것을 발견하고 급히 무선 연락을 취했으나 응답이 없어 곧바로 경찰과 119 구급대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쑤 씨는 문 씨가 10여 년의 패러글라이딩 경력이 있고, 싸이자 활공장에 여러 차례 방문해 현지 지형에 밝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문 씨가 이번에 3일 일정으로 방문했으며 전날 첫 활공에서 사고를 당했다고 덧붙였다. 119 구급대는 전날 신고를 받고 총 7대의 차량과 13명의 대원을 보내 수색한 결과 30여분 만인 오후 3시 27분경 활공장에서 약 2㎞ 떨어진 산업도로에서 추락한 문 씨를 발견했다. 문 씨는 발견 당시 이미 사망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관할인 리강(里港) 경찰서는 현재 활
최근 중국 당국이 지하교회 단속에 열을 올린 데 이어 이번에는 중국 곳곳에 '크리스마스 금지령'이 내려졌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명보가 19일 보도했다. 이들 매체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 인근 도시인 랑팡(廊坊) 시 도시관리국은 최근 공문을 통해 도시 전역의 상점들이 길거리에 크리스마스트리를 세우거나 장식, 조명을 다는 등 크리스마스 판촉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했다. 사회 안정을 해친다는 이유로 야외 크리스마스 공연이나 종교활동을 하는 것도 엄격하게 금지했으며, 시민들이 이를 발견하면 즉시 신고하도록 했다. 크리스마스이브인 24일 저녁에는 노점상들이 크리스마스 양말이나 사과, 산타클로스 인형 등을 파는 것을 대대적으로 단속할 방침이다. 다른 지방정부의 교육 당국은 각 학교에 보낸 공문에서 "크리스마스 축제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학생들이 크리스마스 활동에 참여하지 말고 선물도 주고받지 말도록 계도하라"고 지시했다. 이러한 '크리스마스와의 전쟁'은 지난해부터 본격화했다고 할 수 있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중국 관영 매체인 신화통신과 중국중앙(CC)TV가 크리스마스 전야 길거리의 넘쳐나는 인파와 흥겨운 분위기를 전
사진 출처:인민망 중국이 당국의 인가를 받지 않은 지하교회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면서 최근 넉 달 새 3곳의 유명 지하교회가 폐쇄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전 10시 무렵 중국 남부 광저우(廣州)의 지하교회인 룽구이리 교회에는 중국 경찰과 종교·교육 당국 공무원 60여 명이 들이닥쳤다. 이들은 저녁 8시까지 10시간가량 머물면서 성경을 포함한 4천여 권의 서적과 재산 등을 압수했다. 이를 촬영하려던 한 신자는 당국에 연행됐다. 한 신자는 "당국은 우리가 불법 집회, 불법 출판, 불법 모금 등의 행위를 저질렀다며 모든 성경을 압수했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은 이날 소셜미디어에 유포된 공지를 통해 "종교사무조례를 위반한 혐의를 받는 룽구이리 교회의 모든 활동이 중단될 것"이라며 "신자들은 당국의 인가를 받은 15개 교회의 예배에 참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2년 말 집권한 이후 중국 내에서는 당국의 통제 밖에 있는 지하교회에 대한 탄압이 강화되고 있다. 더구나 올해 2월부터 중국 내 종교단체와 종교활동의 요건을 강화한
사진 출처:DW뉴스 중국 관영 매체들이 개혁·개방 40주년을 하루 앞두고, 지난 40년간의 발전상을 돌아보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공적을 찬양하는 등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는 17일 개혁·개방 40주년 특집판에서 신문 전면을 관련 내용으로 채웠다. 인민일보 국내·해외판은 1면에 '신시대 개혁·개방의 기를 높이 들자'라는 특별 논평을 통해 "시 주석을 핵심으로 한 당 중앙을 중심으로 개혁·개방의 길을 계속해서 추구해야 한다"면서 "중국은 장기간 고속성장 시기를 거쳐 경제발전이 '신창타이'(新常態·뉴노멀·시대에 따라 새롭게 부상하는 표준) 상태에 진입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빠른 발전 과정에서 많은 모순이 쌓여, 구조와 동력 전환을 반드시 이행해야 할 시기를 맞았다"면서 "개혁·개방의 복잡성, 막중함, 민감도 등에서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정도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 주석의 지난 10월 광둥 순시 당시 발언을 인용하면서 "중국 개혁·개방은 영원히 멈춰서는 안 된다"며 "앞으로 40년간 중국은 세계가 괄목할 만한 새로운 성과를 거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
사진 출처:신화뉴스 중국 쓰촨성 16일 발생한 규모 5.7 지진의 부상자가 16명으로 늘었다. 17일 쓰촨성 현지 언론 청두상바오 등은 전날 발생한 지진으로 16명이 다쳤고, 부상자 중 중상자는 없다고 전했다. 이밖에 이번 지진으로 2채의 가옥이 완전히 무너졌고, 252채 가옥이 심각하게 훼손됐으며 6145채도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당국이 629명의 주민을 긴급 대피시켰고, 402명은 임시대피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날 오후 12시46분께(현지시간) 쓰촨성 이빈시 싱원현에서 규모 5.7의 지진이 일어났다. 진원은 지하 약 12㎞로 꽤 얕은 편이다. 지진 이후 최소 11차례 여진이 일어났다. 5.7 규모의 강진에도 희생자가 없었던 것은 초고속지진통보시스템 덕분으로 알려졌다. 중국 지진국은 16일 성명을 통해 해당 시스템이 이번 지진 신속 대처 및 구조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2008년 규모 8.0 쓰촨성 원촨대 지진 후속조치로 이 시스템은 2015년 3월 개동됐다. 지진국에 따르면 이번 지진이후 해당 시스템은 7.4초 만에 1차 지진보고를 작성했고, 28초만에 긴급재난메시지를 발송했다. 이는 당국의 초기 대응에 큰
사진 출처:DW뉴스 중국 난징대학살 81주년인 13일 중국 전역에서 추모행사가 이어졌다. 중신왕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장쑤성 난징시 '난징대학살 희생자 기념관'에서 약 1만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행사가 개최됐다. 추모식이 시작된 오전 10시(현지시간)에 맞춰 난징시 모든 지역에 추모 사이렌이 울리기도 했다. 앞서 오전 7시 기념관에서는 조기 게양식이 열렸다. 난징대학살 희생자 기념관 측은 공식 SNS를 통해 게양식 영상을 공유하면서 네티즌들은 행해 추모행사에 동참해 줄 것을 촉구했다. 중국 관영 언론들은 난징대학살 기념관 행사 이외 전역에 있는 항일 전쟁을 주제로 한 기념관 약 30곳에서 이날 추모행사를 거행한다고 전했다. 난징대학살은 1937년 12월13일부터 이듬해 1월까지 국민당 정부 수도였던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이 저지른 대규모 중국인 학살사건이다. 중국 정부 당국과 학계는 일본군이 30만명 이상을 살해한 것으로 보는 반면 일본 학계는 대체로 피해자 규모를 2만∼2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2014년부터 12월 13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희생자를 애도해 왔다. 2015년 10월에는 중국이 신청한 난징대학살 관련 자료가 유네
사진 출처:CCTV 인류 최초로 지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달의 뒷면에 착륙하기 위해 중국에서 개발한 ‘창어(嫦娥) 4호’가 달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13일(현지시간)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에 따르면, 중국 우주 당국인 국가항천국(CNSA) 등은 12일 오후 4시 45분 창어 4호가 약 110시간을 비행해 달 부근에 도달한 뒤 ‘우주에서 브레이크를 밟는 것’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현재 창어 4호는 달에서 약 100km 떨어진 궤도에서 달 주위를 돌고 있다. CNSA는 12일 오후 4시 39분 달 표면으로부터 약 129km 떨어진 지점에서 창어 4호가 발전기에 점화했고, 약 5분 후 발전기가 정상적으로 창어 4호를 멈추게 해 궤도 진입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창어 4호는 지난 8일 오전 2시 23분 중국 쓰촨성 시창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長征) 3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CNSA는 창정 3호 로켓이 창어 4호를 정확히 달 궤도로 보낸 덕분에, 달 부근에서 속도를 줄이기 전 예정과 달리 1차례만 조정했다고 덧붙였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지구에 있는 관제센터가 앞으로 달 주위를 도는 창어 4호의 궤도를 조정하고 통신 중계 위성 ‘췌차오’(鵲橋·오작
사진 출처:글로벌 타임스 고가 패딩으로 유명한 캐나다 의류업체 ‘캐나다 구스’가 곤혹을 치르고 있다.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 체포 사건에 불만을 품은 중국 소비자들이 전례없는 불매 운동을 벌이고 있어서다. 멍 부회장은 지난 1일(현지 시각) 유령 자회사를 통해 미국의 대(對)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는 혐의로 캐나다에서 체포됐다. 이후 10여일간 구금됐던 멍 부회장은 11일 전자발찌를 차는 등 보석 조건으로 풀려나 자택에서 머물고 있지만, 중국 민심은 ‘체포 자체가 말이 안된다’며 들끓고 있다. 캐나다 구스가 타격을 입기 시작한 건 멍 부회장의 체포가 알려진 지난 5일부터다. 11일까지 닷새동안 주가가 20% 가까이 폭락했다. 캐나다 구스 주가는 뉴욕 증권시장에서 지난 4일 주당 63.38달러에 거래되다가 주말부터 본격 하락세에 들어서기 시작, 11일 55.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중국 유력 소셜미디어 웨이보(중국판 트위터)를 타고 퍼져 나간 캐나다 브랜드 불매운동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중국 내 캐나다 브랜드 불매운동은 중국 관영 환구시보, 글로벌타임스 등의 보도로 더욱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캐나다 유통솔루션업체 ‘리테일 어드바이저 네트웍스(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