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영화 OST '의용군진행곡'이 중국 국가로 톈안먼광장에 울려퍼진 날

 

중국국가는 짧다.  1절이 전부다. 내용도 명료하다.

 

起来!

不愿做奴隶的人们!

把我们的血肉,筑成我们新的长城!

中华民族到了最危险的时候,

每个人被迫着发出最后的吼声。

起来!

起来!

起来!

我们万众一心,冒着敌人的炮火前进!

冒着敌人的炮火前进!

前进!

前进!

前进!进!

 

일어나라 ! (깨어나라!)

노예가 되고 싶지 않은 이들이여 !

우리의 피와 살로 새로운 만리장성을 만들자 !

중화민족이 가장 위태로운 이 때에 

억압받는 모든 이들의 최후의 함성이 터져나오리!

일어나라!

일어나라!

일어나라!

우리 모두 한마음으로, 적의 포화에 맞서 전진하자!

적의 포화에 맞서 전진하자!

전진 !

전진 !

전진 ! 나아가자 !

 

중국 국가의 별칭은 '의용군진행곡(义勇军进行曲)'이다.

1935년에 상하이에서 개봉된 영화 '풍운아녀(风云儿女)'의 주제곡, 즉 OST이다.

가사는 한 눈에 봐도 전투적이고 비장하다. 곡은 힘차고 울림이 장엄하다.

이런 내용과 느낌의 주제곡이 삽입된 영화라면 스토리가 어떠할지 감이 잡힌다.

영화가 개봉됐던 당시 시대 상황을 살펴보면 영화와 주제곡의 메시지가 더 명료해진다.

 

당시 상하이는 이미 영국, 미국, 프랑스 등 서구 열강들의 행정권과 치외법권이 보장된 조계지가 광범위해 사실상 식민지나 마찬가지였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난징조약으로 열강들은 상하이 조계지를 터전으로 삼아 유럽풍의 건축물을 짓고 자국 문화와 경제를 이식해 무려 100년 가까이 영향력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1932년에는 일본 제국주의 세력까지 상하이에 발을 들여 놓는다.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으로 동북3성을 점령하고 이듬해 제1차 상하이사변을 일으켜 중국인들을 학살하고 약탈을 자행한다.

 

영화 '풍운아녀'는 당시 상하이에 모여든 중국 젊은이들의 욕망과 좌절, 중국의 현실에 대한 분노와 애국심 등을 그려냈다. 영화 속 주인공은 풍운의 시대 화려한 상하이에서의 자신의 실체를 자각하고, 나라를 구하는 전선으로 향하게 된다.

 

 

영화 '풍운아녀'의 각본은 톈한(田汉, 1898~1968)이 썼다. 시인이자 극작가인 톈한은 중국공산당원으로서 상하이시 문화선전 담당이었다.

그는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공산당에 입당한 후 인민의 사상 개조를 위한 문화투쟁을 전개했다. 그 일환으로 영화 '풍운아녀'를 기획하고 작본을 쓴다. 그리고 자신의 장편 시 '만리장성'의 뒷부분 일부를 영화 주제곡의 가사로 만들어 운남성 출신의 천재 음악가이자 같은 공산당원인 니에얼(聂耳, 1912~1935)에게 작곡을 의뢰하면서 '의용군진행곡'이 탄생하게 된다.

 

'의용군진행곡'은 '풍운아녀' 개봉 이후 상하이는 물론 중국 전역으로 퍼져나간다. 전 세계 공산주의 진영에서 반제국주의 운동을 상징하는 노래로 애창되었고, 항일전쟁중에는 마오쩌둥의 인민해방군과 장제스의 국민당군이 모두 이 노래를 불렀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마침내 1949년 9월 25일 중국 공산당 제1차 전국정치협상회의 전체회의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로 확정돼 10월 1일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신중국 선포식에 울려퍼지게 된다.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